[강세 토픽] 종합반도체 테마, SK하이닉스 +3.81%, 삼성전자 +2.12%

증권플러스 | 2025.09.15 오전 09:02

[뉴스봇] 종합반도체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43% 상승세이다. SK하이닉스 +3.81%, 삼성전자 +2.12%, DB하이텍 +1.36%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25년 반도체 업황 상저하고 전망 ✔ AI 시장 개화로 고용량 반도체(HBM, LPDDR5, DDR5, eSSD) 중요성 더욱 부각 ✔ 미-중 반도체 패권 분쟁..국내 업체들 불확실성 우려
'종합반도체'(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 IDM) 회사란 칩 설계부터 완제품 생산 및 판매까지 모든 분야를 자체 운영하는 기업을 의미. 해외 종합반도체 기업으로는 대표적으로 인텔, 마이크론 등이 있으며, 국내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있음.
통상 반도체 시장은 세계 경제 상황과 반도체 수급 등에 따라 변동. 특히 디램, 낸드플레시 등과 같은 메모리 반도체는 수요·공급 변동에 민감.
반도체 업계는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기술의 등장으로 반도체의 쓰임새가 늘고 제조 공정이 고도화되면서 팹리스(반도체 설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후공정(패키징) 등으로 분업화됨. 특히 초미세공정의 필요에 따라 팹리스와 파운드리 사이의 분업화가 더욱 가속화.
2025년에는 반도체 업황은 상저하고를 보여줄 것으로 전망(출처:신영증권).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는 2025년 D램 가격 전망치를 전년 대비 5~10% 하락으로 제시. 메모리 공급 과잉과 수요 감소, 그리고 높은 재고 수준 등이 맞물리면서 내년 상반기엔 큰 폭의 가격 하락이 나타날 수 있다는 분석. 또한 중국 D램 기업들의 공격적인 생산능력 확장도 부담. 중국 D램 업체들의 2025년 생산량은 전년 대비 99% 증가하고, 출하량 기준 시장 점유율은 올해 5.3%에서 9.0%로 상승할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출처: IM증권).
낸드의 경우 2025년 사업 적자 전망까지 거론되고 있는 추세.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기업용 낸드 가격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나 PC나 모바일에 사용되는 제품의 가격은 큰 폭의 하락 전망. 공급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수요 업체들이 재고를 축소하는 분위기. 이에 이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이 저부가 제품의 생산 조정에 나선 가운데, 일본 키오시아도 2024년 12월부터 생산을 줄여. 범용 메모리 반도체 가격은 회복은 메모리 반도체 재고가 정상화되는 2분기부터 나타날 것으로 예상.
그러나 고용량 반도체(HBM, LPDDR5, DDR5, eSSD)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될 것으로 전망. 특히 2025년에도 HBM의 강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 AI 설비투자 강세로 2025년 HBM 수요는 전년대비 85% 증가한 231억 Gb로 성장하며 3% 공급 부족 지속 전망(출처:SK증권).
AI 반도체 제조(파운드리)는 TSMC, HBM은 SK하이닉스의 선두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 다만 HBM은 2025년 상반기를 지나가며, 공급 업체간 수주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됨. 1분기 엔비디아 B200(HBM3e 8hi)에서는 SK하이닉스의 독점적 지위가 유지되지만, 2분기 B300(HBM3e 12hi) 및 2026년 2분기 Rubin(HBM4 8/12hi)에서는 삼성전자의 시장 진입 가능성이 높기 때문(출처: 키움증권, DB증권).
한편, 2025년 트럼프 대통령 당선으로 인한 리스크 존재. 미국과 중국은 반도체 산업 패권을 유지하고자 자국 중심의 반도체 공급망 재편을 가속화하고 있음. 반도체 패권 분쟁 장기화가 전망되는 가운데 국내 업체들에 불확실성은 우려.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3.81%
SK그룹 계열의 종합반도체 기업. 주력 제품은 D램과 낸드플래시를 중심으로 하는 메모리반도체이며, 일부 Fab(S1, M10 일부)을 활용해 시스템 반도체인 CIS(CMOS Image Sensor)생산과 파운드리 사업도 병행.
+2.12%
삼성그룹 계열의 종합반도체 기업. 메모리반도체(D램, 낸드플래시)와 모바일용 SOC 제품과 이미지 센서, OLED용 DDI 등을 공급하는 System LSI(비메모리 반도체), 다른 업체가 설계한 반도체를 위탁 생산해서 공급해 주는 사업인 파운드리 사업 등을 영위.
+1.36%
DB그룹 계열 순수 파운드리(위탁생산) 업체. 주력 분야는 8인치 웨이퍼(반도체 원재료) 기반 파운드리이며, 디스플레이 구동 IC 제품을 설계, 판매하는 Brand 사업도 운영.
종합반도체 테마 차트
  • 3개월 등락률
    +24.92%
  • 1개월 등락률
    +17.09%
  • 1주 등락률
    +1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