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항공·우주 테마, 하이즈항공 +29.79%, 아스트 +16.53%
증권플러스 | 2025.07.25 오후 01:08
[뉴스봇] 항공·우주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3.33% 상승세이다. 하이즈항공 +29.79%, 아스트 +16.53%, 보령 +4.88%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우주산업, 국가·민간 중심으로 천문학적인 투자 집행 중
✔ '25년 우주항공청 예산 1조원대..민간우주기업 성장 지원 기대
✔ 2기 트럼프 행정부 우주 규정 간소화 및 우주의 상업화 가속 전망
▶ 항공 제조
항공 제조는 완제기(완성된 항공기) 제조와 항공기 부품 생산으로 구분. 항공기 제조 산업은 주문에서 인도까지 평균 3~4년이 소요되며, 중장기적으로 투자가 필요한 수주산업. 항공 제조업은 여객 및 화물을 운송하는 항공 운항업 후방산업으로 여행수요, 유가 수준 등과 관계있음.
항공MRO(Maintenance, Repair, Overhaul)산업은 항공기의 안전운항과 성능 유지를 위한 운항‧기체‧부품‧엔진 등 정비를 총칭. 국적항공사의 항공기 국내 정비 비중은 2019년 54.5%에서 2023년 41%로 감소. 국적항공사의 국내 정비 규모도 2019년 1조5000억원 수준에서 2023년 1조3000억원으로 감소. LCC항공사들의 2023년 국내 정비 비중은 28.9%, 국외 정비 비중은 71.1%로 대부분 해외에 의존.
앞서 정부가 2021년 발표한 항공정비(MRO)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에서 국내정비 비중을 2025년까지 70% 이상으로 개선, 2030년까지 국내 항공정비산업(MRO)을 현재 대비 7배 늘어난 5조원 규모 시장으로 확대 목표에 근접하지 못하고 있는 수준.
대한항공은 2024년 MRO 투자금액을 3346억원에서 5780억원으로 확대. 인천 영종도 운북지구에 아시아에서 가장 큰 엔진정비 클러스트를 조성한다는 계획. KAI도 MRO 사업을 꾸준히 확대. 2017년 항공 MRO 사업자에 지정된 KAI는 2018년 7월 MRO 산업을 전담하는 한국항공서비스(KAEMS)를 설립해 국내 주요 LCC들의 MRO를 담당.
▶ 우주 산업
우주 산업은 크게 위성산업과 위성 외 산업으로 구분. 위성 산업은 위성체 제작, 발사, 위성 서비스, 지상장비 등이 있으며, 위성 외 산업은 민간 우주여행 서비스 등이 존재.
세계 우주 시장은 선진국 중심으로 천문학적인 투자를 하는 상황. 우주항공 기술의 발전은 국방, 날씨 관측, 네비게이션 등 다른 기술에 응용될 수 있어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2040년 세계 우주 시장은 1조달러(약 112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정부는 우주 과학 기술 개발에 노력 중. 누리호 3차 발사 성공으로 한국은 미국·프랑스·일본·러시아·중국·인도와 함께 독자 우주수송 능력을 지닌 7대 우주 강국으로 등극(2023.05.25).
정부는 2024년 5월 우주항공청을 개청. 2025년 우주항공청의 예산은 전년 대비 27% 이상 증가한 1조원대 수준으로 책정. 우주항공청은 본격적으로 민간우주기업 성장 촉진을 위해 지원하겠다는 계획.
먼저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달에 첫발을 내딛기 위한 '달 착륙선' 개발을 본격 시작. 한국형 달 궤도 탐사선 '다누리호' 발사 성공(2022.08.05)을 시작으로 2032년까지 10년간 약 2조134억원을 투입, 누리호보다 성능이 3배 이상 뛰어난 차세대 발사체 개발에 힘쓸 계획. 이를 바탕으로 2030년 달 궤도에 투입할 성능검증위성을 발사하고, 2031년 달 착륙선 예비 모델을 발사한 다음, 2032년 달 착륙선 최종 모델을 발사한다는 계획. 이렇게 2030년까지 우주에서의 무인 수송 능력을 확보한 다음 2045년까지 유인 수송 능력을 확보한다는 방침.
또한 차세대 발사체 개발도 함께 추진. 우주항공청은 2025년 4개 민간 기업을 선정해 '혁신형 재사용발사체 핵심기술 선행연구 사업' 1단계를 2026년부터 진행할 예정.
한편, 한국과 미국은 2023년 우주 협력 전 분야에 걸친 한미동맹 강화를 약속한 바 있음. 2023년 4월 대통령의 미국 국빈방문을 계기로 우주탐사·과학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의 '한미 우주협력 공동성명서'를 체결한데 이어, NASA 간 협력 토대 마련과 함께 미국의 아르테미스 계획에 한국의 참여를 더욱 확대하기로 함.
2025년 들어서는 2기 트럼프 행정부는 우주 상업화에 적극적일 것으로 전망. 2024년 11월에서 2025년 9월로 한 차례 연기된 아르테미스 미션 II는 트럼프 당선을 계기로 추진력을 얻게 될 전망.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선거 운동 과정에서 공식적으로 자신을 지지한 일론 머스크에게 우호적 정책으로 호의를 표할 것으로 전망. 이를 위해 민간 우주 산업의 빠른 혁신과 성장을 추진하기 위해 우주 규정 간소화 및 우주의 상업화를 가속화 할 것으로 추정(출처: 메리츠증권).
-
3개월 등락률
+17.35% -
1개월 등락률
+0.53% -
1주 등락률
+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