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스테이블코인 테마, 더즌 +7.58%, 형지글로벌 +7.33%

증권플러스 | 2025.07.25 오전 09:08

[뉴스봇] 스테이블코인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38% 상승세이다. 더즌 +7.58%, 형지글로벌 +7.33%, 미투온 +5.93%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달러, 금 등에 가치를 연동한 디지털자산 ✔ 송금, 시장 유동성, 미 국채 수요까지 핵심 역할 ✔ '25년 7월 미국 지니어스 법안통과..제도권 진입
스테이블코인은 달러, 금, 국채 같은 안정적인 자산의 가치에 연동된 디지털 자산. 비교적 안정적인 가격을 유지하는 게 특징.
스테이블코인은 크케 담보형과 비담보형 스테이블코인이 있음. 담보형은 법정화폐·디지털자산·실물자산 등이 있으며, 비담보형 스테이블코인은 대표적으로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이 있음.
스테이블코인은 실제 화폐처럼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자산이라는 점에서 주목. 블록체인 기반으로 송금 속도는 빠르고, 수수료는 저렴. 예를 들어, 전통적인 국제금융망인 SWIFT를 통해 돈을 보내면 2~3일이 걸리는 반면, 스테이블코인은 전 세계 어디든 24시간 안에 거래가 완료.
스테이블코인은 송금뿐만 아니라 디지털자산 생태계 전반에서 핵심 인프라 역할도 담당. 실제 디지털자산 거래 대부분이 스테이블코인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음. 또 디파이 플랫폼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을 예치해 연 5~15% 수준의 고정 수익을 얻는 것도 가능.
최근에는 스테이블코인이 미국의 재정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열쇠로 주목받고 있음. USDT와 USDC의 발행사들은 합산 1,800억 달러가 넘는 미국 단기 국채를 보유 중. 이는 한국을 포함한 다수 국가보다 많은 수준.
그 가운데 미국은 2025년 7월, 지니어스 법안(GENIUS Act)을 통과시키며 스테이블코인을 제도권 안으로 편입. 이 법은 지급결제용 스테이블코인을 고정 가격으로 발행된 디지털 자산으로 정의하면서, 발행자 등록, 준비자산 관리, 정보공시 등 다양한 규제를 명문화.
이 법을 통해 미국은 스테이블코인 수요를 미국 국채 수요로 연결하는 구조를 설계. 실제로 베센트 미 재무부장관은 이 구조를 통해 미국 국채 수요가 최대 2조달러까지 확대될 수 있다고 언급.
이는 미국 정부가 부담하고 있는 국채 이자 비용을 간접적으로 줄여주는 역할도 함. 단기 채권 수요가 늘면 정부는 금리가 낮은 단기물을 더 많이 발행할 수 있고, 이는 전체적인 차입 비용 절감으로 이어질 수 있음.
한편, 스테이블코인 관련주로 스테이블코인을 발행·수탁·중개 등의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이 대표적. 또 이런 사업자들과 전략적으로 제휴 기업들도 시장에선 수혜주로 주목.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7.58%
카카오페이가 2대주주로 있으며, 카카오페이와 제휴를 맺고 대출 조회와 청구서, 간편 송금 등 서비스를 제공 중.
+7.33%
스테이블코인 규제가 마련된 싱가포르에서 스테이블코인 ‘형지코인’ 발행과 ‘형지페이’ 도입에 나선다고 밝혀(2025.07.03)
+5.93%
자회사 고스트스튜디오와 함께 MEKRW HKDME 등 한국과 홍콩에 스테이블코인 상표권 6건을 출원
+4.99%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양대 발행사인 써클(Circle)과 테더(Tether)와의 전략적 협업 추진 중이라고 밝혀. 스테이블코인 간편결제 핵심 인프라 구축에도 나서(2025.07.07).
+4.59%
PKRW, KKRW, KRWK, KRWP, KPKRW, KRWKP 등 총 6개 상표를 9류, 36류, 42류로 나눠 총 18건의 스테이블코인 관련 상표권 출원.
+4.36%
자회사 페이프로토콜의 ‘페이코인 마스터카드’를 통해 스테이블코인 실물결제 상용화에 성공. Pitch PSC 등 총 20개의 스테이블코인 관련 상표권 출원
+2.98%
온·오프라인 전자결제 전문 기업. KRWPS, KSKOR등 총 11종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에 대한 상표권 출원을 완료.
+2.70%
한국은행의 CBDC(중앙은행 발행 전자화폐) 실거래 테스트인 ‘프로젝트 한강’의 기술 개발 총괄 부각.
+1.71%
MPC(다자간 계산) 기반 디지털 금고 체계 개발, MPC 기반 분산키 생성·서명 체계, RBAC 기반 인증 체계를 활용한 보안 솔루션 확보 부각.
+1.62%
스테이블코인 활성화를 위해서는 AML, KYC, 정산 등 PG사의 지급결제 인프라가 필수인 가운데 부각. 손자회사인 ‘메타핀컴퍼니’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가상화폐 발행, 결제, 예치·수탁 사업 등을 준비하다 규제 이슈로 철수한 바 있음. 최근에는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위해 KG이니시스와 KG모빌리언스 공동 TF를 구성
+1.10%
국내 주요 시중은행들과 스테이블코인 실증사업을 추진 중인 페어스퀘어랩의 지분 보유.
+0.99%
블록체인 보안 전문기업 하이파이브랩과 스테이블코인 지급결제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술제휴 양해각서(MOU)를 체결(2025.06.11)
+0.95%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 ‘위믹스 3.0’을 통해 스테이블 코인인 ‘USDC.e’ 도입
+0.79%
자회사 갤럭시아메타버스가 스테이블 코인 기반의 실사용 결제 모델과 관련 인프라 고도화를 목표로 사업 준비 중.
+0.69%
10만명 규모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실증 사업에서 NH농협은행의 파트너로 참여해 관련 시스템 구축부터 운영 수행 부각.
+0.60%
엔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한 JPYC와 스테이블코인 공동 연구를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
+0.22%
네이버페이가 NPKRW, KRNX 등 5종의 스테이블코인 관련 상표권을 출원. 또한 네이버페이는 업비트와 원화 스테이블 코인 결제사업 제휴.
-1.71%
1호 원화 스테이블코인 ‘KRWx’ 발행. KRWx는 바이낸스(BNB) 체인에 발행됐으며 국내 상표 출원.
-2.26%
이더리움(ETH), 베이스(Base), 바이낸스 스마트체인(BNB Smart Chain, BSC) 기반으로 자사의 스테이블코인인 KRDT를 온체인 발행
스테이블코인 테마 차트
  • 3개월 등락률
    +82.22%
  • 1개월 등락률
    +2.69%
  • 1주 등락률
    -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