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희귀질환 치료제 테마, 이수앱지스 +6.46%, 모아라이프플러스 +4.91%

증권플러스 | 2025.07.03 오후 12:17

[뉴스봇] 희귀질환 치료제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2% 상승세이다. 이수앱지스 +6.46%, 모아라이프플러스 +4.91%, 압타바이오 +4.07%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국내 기준 2만명 이하의 질병을 희귀질환으로 정의 ✔ 일반의약품 대비 약가 5배↑..독과점 지위도 누릴 수 있어 ✔ 글로벌 희귀의약품 시장 '28년까지 연평균 11% 성장 전망
희귀질환(Orphan disease, Rare disease)은 그 뜻이 의미하는 바와 같이 인구의 극히 일부가 앓고 있는 질환을 의미.
희귀질환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유병 인구 수로 정해지는데 그 기준은 국가별로 다름. 미국은 유병인구 20만명 이하, EU(유럽연합)는 18.5만명 이하, 일본은 5만명 이하, 한국은 2만명 이하인 질병을 희귀질환이라 정의. 이를 해당 국가의 전체 인구에 대한 비율을 이용하여 표준화하면 인구 10,000명 당 3~10명 수준.
현재까지 알려진 희귀질환은 7000~8000종에 달함. 이 중 80%가 유전질환이며 동일 질환이라 하더라도 환자들 간 증상이나 치료 반응의 편차가 심함.
절대적인 환자수인 인구의 7%를 기준으로 보면 한 자릿수 수준의 시장규모를 예측할 수 있음. 그러나 2016년 기준 희귀의약품은 전체 오리지널 의약품 시장의 16.5%를 차지. 환자 수보다 2배 이상 큰 시장 규모.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전 세계 희귀의약품 시장 규모는 2023년 1730억달러로, 2028년에는 연평균 11.6% 성장한 약 30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 복제약과 희귀의약품을 제외한 전문의약품이 같은 기간 동안 9220억달러에서 1조2400억달러로 연평균 6.1% 성장하는 것과 비교하면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 전체 전문의약품 매출액 중 희귀의약품이 차지하는 비중도 2023년 14.8%에서 2028년 18.4%까지 성장할 전망.
희귀의약품은 일반의약품보다 약 5배 이상 약가가 높음. 반면 경쟁은 치열하지 않아 개발 시 독점적인 지위를 누릴 수 있는 장점. 정부는 개발을 유도하기 위한 ‘희귀의약품법’ 제정 등 제도적 측면을 이용해 인센티브 부여.
국내에선 희귀의약품으로 지정 시 조건부 허가제도를 통해 임상 2상을 마치고 우선 판매 허가를 받을 수 있음. 또한 시판허가를 받은 날로부터 4년 동안 독점권이 인정. 미국은 임상시험 승인·허가 기간 단축, 전문의약품 허가 신청비용 면제, 세금감면, 품목허가 취득 후 7년간 시장 판매 독점권 등 혜택이 있음.
정부는 의약품 개발을 장려하기 위해 2023년 3월 바이오헬스 신산업 규제혁신 방안을 통해 희귀질환 치료제로 대체 약제가 없으나 개선효과가 충분한 약제에 대해 ‘(식약처)품목허가-(심평원)급여평가-(건보공단)약가협상’ 병행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발표.
세계 각국도 희귀의약품 개발 장려를 위해 정책적으로 지원.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희귀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미국 인구 20만명 이하의 유병률을 가지는 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약을 '희귀의약품(orphan drug, ODD)'로 지정해 심사 기간이 단축 및 임상비용 세액 공제, 신약 허가 심사비용 면제, 시판 후 미국 시장 7년 독점권 등의 혜택 부여. 유럽도 의약품 허가 관련한 프로토콜 지원이나 각종 비용 공제, 우선심사, 출시 후 10년간 유럽 시장 독점권 부여 등의 혜택존재.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6.46%
고셔병, 파브리병과 같은 희귀질환 치료제를 바이오시밀러로 개발 및 판매중인 업체.
+4.91%
바이오신약 및 소재 개발 업체. 희귀질환 뒤쉔 근디스트로피(Duchenne muscular dystrophy) 치료제 ‘BLS-M22’ 국내 임상 1상까지 완료 후 2023년 11월 미국 바이오 라이센싱 회사와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
+4.07%
난치성 항암치료제 등을 주로 개발. 압타(Apta)-DC 플랫폼과 녹스(NOX) 저해제 발굴 플랫폼 등을 기반으로 혈액암, 췌장암, 방광암, 간암 등의 난치성 항암제 파이프라인 개발 중.
+3.13%
희귀‧중증 원발성 미토콘드리아 질환 신약 후보물질인 ‘KL1333’ 미국서 임상 2상 진행 중. KL1333의 한국과 일본의 판권은 영진약품이 보유하고 있으며, 그 외의 국가에서의 개발‧판매 독점권 권리는 스웨덴 제약사 앱리바에게 기술 이전.
+3.04%
신약후보 물질의 도입, 개발, 기술이전 사업 영위. 발기부전치료제 자이데나의 성분 유데나필의 북미와 러시아, 멕시코 특허 보유. 발기부전증 및 전립선비대증, 발기부전증과 전립선비대증의 동시적응증, 폰탄수술 치료제 등의 용도로 유데나필의 임상 진행 중.
+2.68%
희귀질환 헌터증후군 치료제 헌터라제 개발. 2023년 11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헌터라제 3상 결과 심사와 함께 임상시험 관리기준(GCP) 실태조사를 완료하고 최종 변경허가를 승인.
+1.90%
말초신경 관련 유전질병인 CMT1A에 대한 유전자 교정 치료제(TGT-001)의 희귀의약품 지정(ODD) 신청을 승인 받고 글로벌 임상시험 진행 중(2023.12.18).
+1.88%
SKI-G-801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미국 임상 1상.
+1.80%
희귀난치 질환 중심의 바이오 업체. 주요 파이프라인으로는TU2670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TU2218(특발성폐섬유증, 면역항암제), TU7710 (혈우병우회인자), TU7918(B형 혈우병)을 연구 중.
+1.25%
고셔병, 파브리병과 같은 희귀질환 치료제를 바이오시밀러로 개발·생산. 글로벌 희귀의약품을 국내도입해 판매하는 사업도 영위. 2018년부터 윌슨병 치료제 트리엔탑을 판매.
+0.35%
‘Poziotinib’ - EGFR Exon20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치료제 개발. 이 폐암의 미국 내 환자 수는 약 7,200명 미만으로 희귀질환. 또한 미 FDA(식품의약처)으로부터 희귀질환치료 후보물질 고인슐린혈증 치료제 ‘랩스글루카곤 아날로그(HM15136)’와 단장증후군 치료제 ‘랩스GLP-2 아날로그(HM15912)’ 임상 2상.
+0.05%
원광대학교와 퇴행성신경계 질환에 관한 기술 협약을 맺고 치매, 파킨슨병과 더불어 루게릭질환 한약제제인 메카신을 제품화하기 위한 상호협약을 체결.
-0.34%
희귀/난치성질환에 대한 줄기세포치료제의 개발 및 제조를 전문으로 하는 바이오 제약업체. 국내 시판중인 루게릭병 치료제인 ‘뉴로나타-알주’가 희귀의약품으로 지정.
-0.44%
ALLO-ASC-SHEET 이영양성 수포성표피박리증(Epidermolysis Bullosa) 미국 임상 2상. 또한 일본에서 희귀질환 의약품으로 지정. 이영양성 수포성 표피박리증이란 콜라겐7(Collagen 7)을 만드는 유전자(COL7A1)에 결함이 생겨 경미한 자극에도 피부에 물집이 생기면서 피부가 벗겨지는 희귀질환.
희귀질환 치료제 테마 차트
  • 3개월 등락률
    +26.05%
  • 1개월 등락률
    +4.97%
  • 1주 등락률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