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조선 기자재 테마, 세진중공업 +7.68%, KS인더스트리 +5.31%

증권플러스 | 2025.06.16 오후 01:26

[뉴스봇] 조선 기자재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04% 상승세이다. 세진중공업 +7.68%, KS인더스트리 +5.31%, 한라IMS +4.42%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선박의 건조와 수리에 사용되는 모든 기계와 원자재 ✔ 선박 발주량 증가시 기자재 수주 확대..매출 인식 리드타임 12~18개월 ✔ '25년도 조선 업황 개선 지속..기자재 업체들 낙수 효과 기대
조선 기자재 산업은 선박의 건조와 수리에 사용되는 모든 기계와 원자재를 총칭.
조선 기자재의 분류는 블록, 엔진, 배관, 설비 등으로 구분.
종합조립산업인 선박의 건조공정은 하나의 선박을 여러 블록으로 나누어 개별적으로 제작하고 다시 이 블록들을 조립해 완성.
조선 기자재는 기본적으로 제품이 고중량이기 때문에 생산비용에서 물류비가 높은 비중을 차지.
조선사들의 수주 증감에 따라 의존도가 매우 높으며, 조선소에서 요구하는 기술 수준에 따라 기술력이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 또한 수요 대부분이 해외에서 발생하고 완성품에 탑재되는 일부 핵심 기자재는 해외에서 수입되기 때문에 국내만의 폐쇄적인 생태계가 아니라 해외 부문까지 연계된 열린 생태계를 갖고 있는 것이 특징.
선박 발주량이 증가하면 조선기자재 업체의 수주 확대로 이어지며, 이후 기자재 납품시 실적으로 나타나는 구조. 조선업체들의 수주부터 조선 기자재 업체들의 매출 인식까지의 리드타임은 12~18개월 정도(출처: SK증권, 메리츠증권)
조선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스마트, 고부가가치 중심으로 패러다임 변화를 겪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따라 조선 기자재 역시 탄력적인 대응과 기술 경쟁력이 요구됨.
2025년 컨테이너선 발주는 줄겠지만 탱커의 회복, LNG선 호황, 신조선가 상승 등으로 국내 조선사들은 2024년 대비 늘어난 500억 달러 수주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국내 조선사들의 선박 인도량은 전년 대비 2% 증가한 1097만CGT가 될 것으로 전망. 한국 조선사들의 일감은 4.3년치로 매우 넉넉하게 쌓아놓았고 2027년 납기슬롯까지 소진돼 2028년 주문을 받는 중. 2025년에도 공급자 우위시장 기조 속, 수익성 위주의 선별수주 전략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출처: 다올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이에 조선 기자재 업체들도 낙수효과 기대 지속.
한편, 국내 조선업의 인력 부족 이슈가 기자재 업체를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음. 블록 제작 등의 기자재 업체 인력 부족은 조선사의 공정 지연으로도 이어질 수 있어 우려 요인. 건조량 증가에 따른 인력부족은 외국인 인력 채용 증가에도 불구하고 2025년에도 지속될 전망이며, 실적개선으로 임금인상에 대한 요구도 점차 강해질 가능성 높아. (출처: KB증권).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7.68%
선원들의 주거공간으로 쓰이는 선실의 Deck House를 제작 및 LPG 운반선에 탑재되는 LPG Tank와 기타 블록을 제작하는 업체.
+5.31%
선박용 크레인(Marine Crane)과 해양플랜트용 크레인(Offshore Crane), 데크머시너리(Deck Machinery), 머테리얼핸들링이큅먼트(Material Handling Equipment) 등 각종 크레인과 선박구성부분품을 제조.
+4.42%
계측기 전문 제조 기업.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수위계(Level Meter), 선박용 탱크 모니터링 시스템 등 지능화된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VRC(밸브 원격자동 개폐시스템), BWTS(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선박서비스 수리업 등을 주 업종으로 한 사업을 영위.
+3.91%
선박용 기계제품인 선박용크레인, 갑판기계, 기관실 크레인, 인명구조용 보트 및 진수장치 등을 생산.
+3.82%
선박수처리용 전력변환장치 개발 제조 및 판매.
+3.39%
대형선박의 실린더라이너 제조 업체.
+2.34%
선박 배관자재 제조 전문 업체. 배관용 탄소강관(carbon steel pipe), 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stainless steel pipe), 배관용 동관(copper pipe)을 후처리 한 후 조선사들에 판매.
+2.23%
선박엔진구조재인 MBS(Main Bearing Support) 제조 업체.
+1.87%
대형 선박용 엔진 제작을 중심으로 엔진 부품의 판매와 서비스를 공급.
+0.99%
선박 디젤엔진용 메인 베어링 서포트(MBS)와 선수, 선미재 제조 업체.
+0.88%
선박엔진부품 제작 업체. 저속엔진(대형엔진)의 실린더 커버, 실린더 프레임과 중속엔진(중형엔진)의 베이스 프레임 등을 생산.
+0.73%
선박 블록 및 배관 등을 제조하는 조선기자재업체. 선박의 앞뒤 부분에 들어가는 곡선 모양의 블록인 곡블록 제조가 주력 사업.
+0.68%
선박용 조명 제조업체.
+0.65%
조선에 사용되는 단조부품 생산 및 공급.
+0.60%
신조선 인도 이후 선박 생애주기 전반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박 애프터서비스(AS) 전문 회사로 선박 통합 유지·보수부터 개조·디지털 솔루션까지 제공.
+0.20%
디젤엔진 전문생산업체로 해상 선박용 엔진을 제조 및 판매.
0.00%
선박전자장비 개발 업체. 주요 제품군으로는 GMDSS(전세계해상조난안전시스템), AIS(선박자동식별장치) 등의 선박통신장비와 GPS플로터(선박내비게이션), 레이더 등의 항해장비 등.
-3.06%
초대형 선박의 선수, 선미, 프로펠라 보스, 엔진룸 등 9곳의 특수 제작 블록을 생산.
조선 기자재 테마 차트
  • 3개월 등락률
    +24.28%
  • 1개월 등락률
    +13.10%
  • 1주 등락률
    +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