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MLCC 테마, 삼성전기 +8.22%, 코스모신소재 +5.14%

증권플러스 | 2025.06.05 오전 10:08

[뉴스봇] MLCC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61% 상승세이다. 삼성전기 +8.22%, 코스모신소재 +5.14%, 삼화콘덴서 +3.78%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반도체에 전기 일정하게 흐르도록 제어하는 핵심부품 ✔ IT기기, 전장, 산업용 등 다양한 제품에 탑재.. '25년 AI 기기 침투율 확대 전망 ✔ 시장규모 131억 달러 추정..'28년까지 연평균 8% 성장 추정
MLCC(적층세라믹콘덴서)는 전자제품 회로에 전류가 일정하게 흐르도록 제어하는 핵심부품으로 '전자산업의 쌀'이라고 불림. MLCC가 탑재되는 제품은 IT기기(휴대폰·PC 등)와 전장용(전기자동차), 산업용(태양광 패널·네트워크 장비 등) 등.
MLCC는 스마트폰에 집약적으로 사용. MLCC는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수많은 고성능 반도체 칩을 원활하게 가동해주면서 큰 부피를 차지 않고 효율이 높기 때문.
2025년은 AI 디바이스 침투율 확대 및 AI 서버 신제품 출시가 이어짐에 따라 MLCC 수요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 AI 스마트폰은 일반 스마트폰 대비 MLCC 탑재량은 약 10~15% 증가하고, AI PC는 일반 PC 대비 MLCC 탑재량은 20% 이상 증가할 전망. AI 서버는 범용 서버 대비 5~10배의 탑재량 증가와 2~4배의 고용량 제품 탑재 추정. AI 기기 침투율 확대가 가속화되는 2025년부터 범용 제품의 가격 반등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출처: 키움증권).
전장용 MLCC는 IT기기 등 보다 훨씬 더 많은 수량이 장착됨. 전장용 MLCC는 자율주행 고도화, 파워트레인 전동화 등에 힘입어 구조적으로 성장 중. 일반적으로 전기차는 내연기관차 대비 2.2배, L2 ADAS 전기차는 2.7 배, L3 이상의 자율주행 전기차에는 3.3 배 많은 MLCC 가 탑재. 차량 1대당 평균 MLCC 탑재량은 2016년 약 2000개 → 2020년 4000개 → 2024년 7000개로 추정
글로벌 MLCC 업체 중 시장 점유율 상위 5개 업체는 무라타 삼성전기, Taiyo Yuden, TDK, Yageo로, 전체 MLCC 생산량의 약 70% 차지. 2024년 MLCC 시장 규모는 131억 달러로 예상되며, 2028년까지 연평균 8%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출처: 키움증권).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8.22%
MLCC 생산. 세계 시장 점유율 2위. 전장용 MLCC 공장 증설.
+5.14%
MLCC에 사용되는 기능성 필름 제조. MLCC 이형필름 생산라인 증설.
+3.78%
다양한 콘덴서를 생산하는데, 그 중 MLCC가 전체 매출에서 약 50% 차지.
+2.32%
MLCC용 절단 장비 개발·생산해 삼성전기 등에 공급.
+2.23%
삼성전기에서 제조한 MLCC(Multilayer Ceramic Capacitors)를 판매.
+2.21%
IT기기 회로를 보호하는 정전기 방지용 부품인 칩 바리스터 생산. 소형 칩 정밀 양산 기술 경쟁력을 기반으로 차량용 MLCC 생산라인 구축 중. 삼성전자 협력사.
+2.17%
MLCC 핵심 소재인 전극페이스트 생산. 삼성전기에 공급.
+0.36%
MLCC 외관, 전기적 특성 검사장비 개발 및 제작 업체.
0.00%
MLCC 기능 내장 마이크로칩 개발.
-0.35%
디스플레이용 진공박막코팅 제품 생산과 판매 및 전장용, 산업용, IT용 MLCC를 양산.
MLCC 테마 차트
  • 3개월 등락률
    -1.98%
  • 1개월 등락률
    +3.92%
  • 1주 등락률
    +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