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뉴로모픽 반도체 테마, SK하이닉스 +3.78%, 자람테크놀로지 +3.77%

증권플러스 | 2025.05.14 오후 03:17

[뉴스봇] 뉴로모픽 반도체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06% 상승세이다. SK하이닉스 +3.78%, 자람테크놀로지 +3.77%, 네패스 +2.80%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인간의 뇌 구조의 원리를 구현해 만든 반도체 칩 ✔ 뉴런과 시냅스의 작동 원리로 데이터 처리..전력소모↓·연산속도↑ ✔ 차세대 AI 반도체로 주목..IBM, 인텔, 삼전, SK하닉 등 개발 중
뉴모로픽(Newmorphic) 반도체란 인간의 뇌 구조의 원리를 접목한 기술을 구현한 차세대 반도체를 의미.
뉴모로픽 반도체는 뉴런 신경 회로망의 작동원리를 따라 설계돼 뇌의 학습과 기억 기능처럼 뉴런 간의 연결과 시냅스 강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
인간의 뇌는 1000억 개가 넘는 신경세포(뉴런)가 시냅스라는 연결 고리를 통해 다른 뉴런과 서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순식간에 정보를 처리하고 저장. 약 1000억 개의 뉴런은 100조 개 이상의 시냅스가 병렬적으로 연결돼 약 20W 수준의 저전력으로도 기억 연산 추론 학습 등을 동시에 수행.
뉴로모픽 반도체의 칩 안에는 여러 개의 '코어(Core)'들이 존재하는데, 이 코어에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몇 가지 전자 소자들과 메모리 등이 탑재. 코어의 일부 소자는 뇌의 신경세포인 뉴런의 역할을 담당하며, 메모리칩은 뉴런과 뉴런 사이를 이어주는 시냅스 기능을 담당. 사람의 뇌처럼 병렬로 구성돼 이전 프로세서에 비해 훨씬 적은 전력만으로도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차세대 인공지능(AI) 반도체로 주목(출처: SK하이닉스 뉴스룸).
인간의 뇌를 모방한 뉴로모픽 반도체 연구는 2000년대 중반부터 유럽과 미국 등에서 원천기술 확보를 목적으로 국가 주도 R&D 사업으로 시작. 그러나 아직 기술 성숙도가 낮고 특수한 구조상 범용성이 낮은 편(출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IBM은 2014년 뉴로모픽 반도체인 '트루노스'를 선보였으며, 인텔은 2017년 뉴로모픽 반도체 '로이히'와 2020년 뉴로모픽 연구 시스템인 '포호이키 스프링스'를 공개. 이밖에 인텔 뉴로모픽 리서치 커뮤니티(INRC)를 통해 8개 대학과 레노버, 메르세데스-벤츠 등 세계 180개 기업들과 연구 공동체 구성.
국내에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뉴로모픽 반도체를 개발 중. 삼성전자는 SAIT(구 종합기술원)에서 뉴로모픽 관련 기술을 연구하고 있으며 국내외 학계 및 산업계와 연구 개발 협력을 진행. SK하이닉스 역시 30건 이상의 뉴로모픽 관련 특허를 출원.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3.78%
2016년 스탠퍼드대학교와 ‘뉴로모픽칩’ 공동 개발 업무협약 체결 및 관련 다수 특허 등록.
+3.77%
뉴로모픽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한 엣지향 인공지능프로세서 개발 중(출처: 사업보고서)
+2.80%
2017년 AI 뉴로모픽칩 개발.
+2.71%
뉴로모픽 인공지능칩 테스트 개발 업체.(출처: 사업보고서)
+2.21%
중소벤처기업부의 모바일 AI 구현을 위한 뉴로모픽칩 IP 개발을 수행(출처: 사업보고서)
+1.54%
2019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과 ‘IT SW 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뉴로모픽)’ 과제 수행.
+1.27%
국책과제를 통해 통해 AI 팹리스 전문기업 디퍼아이와 함께 뉴로모픽 반도체 모듈 및 칩 개발에 성공(출처: 언론보도)
+0.35%
뉴로모픽 칩에서 불일치를 자가 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 뉴로모픽 칩에서 스파이크 이벤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장치 및 방법 등의 다수 특허 등록(출처: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
+0.14%
스마트 모바일 및 IoT 디바이스를 위한 뉴럴셀(Spiking Neural Cell) 기반 SNP SoC 원천기술 개발(출처: 사업보고서)
뉴로모픽 반도체 테마 차트
  • 3개월 등락률
    -16.60%
  • 1개월 등락률
    +10.37%
  • 1주 등락률
    +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