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엔터 테마, 에프엔씨엔터 +7.34%, 와이지엔터테인먼트 +6.28%

증권플러스 | 2025.05.14 오전 11:16

[뉴스봇] 엔터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17% 상승세이다. 에프엔씨엔터 +7.34%, 와이지엔터테인먼트 +6.28%, 디어유 +5.42%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음반 제작·아티스트 운용..아티스트 리스크 발생 시 주가↓ ✔ 올해 한한령 해제 기대감과 주요 아티스트들의 컴백 기대 ✔ 엔터는 서비스 제공 중심 산업..관세 무풍 업종으로도 부각
▶ 산업 개요 및 특징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음반을 제작, 기획하고 판매하는 음악/음원 산업과 아티스트와 관련된 비즈니스 전체 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매니지먼트산업으로 분류.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소자본으로 시장에 진입이 가능해 진입 장벽이 낮은 편. 그러나 극소수의 스타만이 성공하는 현실을 감안하면 수익화까지 매우 혹독한 과정이 필요.
소속 가수들의 안정적인 팬 확보 및 기획력으로 흥행에 성공할 경우 수익 창출 효과는 다른 산업보다 훨씬 큰 고부가가치를 지님. 특정 아티스트 쏠림구조는 호재이자 한계. 대표 아티스트의 인기가 꺾이면 새 스타가 등장하기 전까지 주가가 주춤하고, 신인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오르는 패턴.
혐한류나 한한령 등의 외부변수나 소속아티스트 리스크 발생은 주가에 위험요소. 이 경우 주가 급락이 나타나기도 하며, 종목별 주가 차별화로 이어질 수 있음.
K-POP 산업은 차별화된 육성 시스템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보유. 또한 다양한 국적의 멤버들을 합류시키면서 해외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는 데 주력. 이를 통해 충성도 높은 팬덤을 구축하고, 연속적인 음악공연과 매니지먼트 활동을 수행. 팬덤 중심의 K-POP 문화는 아시아, 미국, 유럽 등 해외로 크게 확산.
▶ 산업 전망
올해 엔터주는 한한령 해제 기대감과 주요 아티스트들의 컴백 등으로 실적 개선 기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 이어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도 한중 간 문화교류를 강조하며, 문화 교류 복원 노력 언급(2025.03.21). 중국 공연 재개 등 성장 호재 기대.
올해 방탄소년단(BTS), 블랙핑크 등 국내 주요 아티스트들의 컴백이 예정된 것도 고무적. 엔터 산업은 아티스트 세대 교체에 따라 약 5년 주기의 사이클이 존재하는데, 올해가 새 성장의 사이클 첫 해. 라이즈, 보이넥스트도어, 베이비몬스터 등 5세대 아티스트들이 월드투어에 돌입하며 본격적인 수익화 단계에 진입(출처: NH투자증권).
또한 미국의 관세 압박 속에서 '관세 무풍 업종'으로도 부각.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서비스 제공이 중심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관세 영향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편. K팝의 경우 주요 수익원 중 음반과 기획상품(MD) 및 굿즈(Goods)를 제외하고는 유형의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관세 영향이 크지 않고, 대체 불가능한 문화이기 때문에 설사 관세 영향으로 음반의 소비자 가격이 상승한다고 해도 소비량에 타격이 크지 않을 전망(출처: KB증권).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7.34%
엔터테인먼트 사업, 인쇄 사업, 미디어콘텐츠 제작 사업을 진행. 계열 회사로는 에프엔씨아카데미(음악교육), 에프엔씨스토리(콘텐츠기획) 등이 있음. 노홍철, 정해인, FT아일랜드, 씨엔블루, AOA, 엔플라잉 등 소속.
+6.28%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음반 및 음원 산업, 공연 사업, 매니지먼트(용역) 사업을 영위. 블랙핑크, 악동뮤지션, 위너 등 소속가수.
+5.42%
플랫폼 기반의 팬덤 비즈니스인 ‘버블’ 운영사. 에스엠 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인 에스엠스튜디오스가 최대주주(지분율: 31.36%).
+4.17%
아티스트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해 국내·해외 콘서트 및 팬미팅, 팬덤 플랫폼 ‘프롬(fromm)’ 등의 서비스 제공. 아티스트의 앨범 및 응원봉 등 MD사업도 영위.
+3.18%
산하 레이블로 BTS가 속한 빅히트 뮤직, 뉴진스가 속한 어도어를 비롯해 플레디스, 쏘스뮤직, 케이오지엔터테인먼트 등이 있음. 디지털 자산거래소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와 합작법인 레벨스를 설립하여 NFT 사업도 영위하고 있으며, 에스파, 레드벨벳 등이 소속한 경쟁사 에스엠의 지분 약 8.81% 보유(2023.03.31).
+2.26%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아티스트들의 음원/음반 투자 유통 및 MD 상품 제조·판매.
+2.06%
에스파, 레드벨벳, NCT, SuperM, WayV, EXO 등 소속. 자회사 SM스튜디오스(지분 100%)가 최대주주(지분 31.36%)로 있는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디어유를 통해 팬커뮤니케이션 플랫폼 ‘버블’과 NFT 사업 영위. 최대주주는 카카오 그룹(카카오 20.76%, 카카오엔터 19.11%).
+1.33%
박진영, 트와이스, ITZY 등 소속. 엔터테인먼트 활동과 음반, 음원의 제작 및 판매, MD 등 부가사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주요 종속사로 영화·드라마 제작사인 JYP픽쳐스(지분 100%), 작곡가 매니지먼트 기업인 JYP퍼블리싱(지분 100%) 등이 있음.
+1.17%
음원·영상 저작관리, 매니지먼트, 공연, 상품 판매 등 종합 콘텐츠 제작사. WM엔터테인먼트(지분율: 80%)와 디에스피미디어(지분율:42.8%)를 계열 회사로 보유. 주요 아티스트는 마마무+·원어스(알비더블유), 오마이걸·B1A4·이채연(WM엔터테인먼트), 허영지(DSP미디어) 등이 있음.
+0.52%
엔터테인먼트사로 판타지오뮤직(음반제작 및 매니지먼트), 판타지오픽쳐스(영화제작), 쏠리드씨앤앰(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콘텐츠판권 유통) 등 5개 계열사를 통해 배우 및 가수 매니지먼트, 음반 제작 등의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영위. 아스트로, 위키미키, 옹성우 등 소속.
+0.40%
카카오(지분율: 20.76%)와 카카오엔터의 지분(19.11%)를 합쳐 카카오그룹이 에스엠 엔터테인먼트의 최대주주(지분율: 39.87%)로 등극. 스타쉽엔터, 안테나, BH엔터, 숲엔터테인먼트를 거느린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지분 73.6% 보유.
0.00%
매니지먼트, 영화, 드라마사업, 투자배급을 주된 사업으로 영위. 김윤석, 김옥빈, 수애, 박주미 등 소속.
-0.23%
에스엠스튜디오스가 최대주주(지분율:23.83%)로 방송·드라마 제작, 연예매니지먼트, 콘텐츠 제작 사업을 영위. 조보아, 박하선, 김서형, 이동휘, 문가영 등 소속.
-0.32%
종합엔터테인먼트 기업. 음반을 기획해서 제작하고 유통하는 음반 산업과 매니지먼트 사업, 소속 아티스트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 사업 등 영위. 비투비, 여자아이들, 펜타곤 소속.
-1.06%
초록뱀미디어가 최대주주로, 연예인 매니지먼트 및 F&B사업 사업 영위. 이영자, 장도연, 이찬원, 이지혜, 양지은, 박지현, 문희준, 김희재 등 소속.
엔터 테마 차트
  • 3개월 등락률
    +16.25%
  • 1개월 등락률
    +13.35%
  • 1주 등락률
    +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