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봇] 스마트폰 부품·소재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0% 상승세이다. 아모텍 +7.43%, 자화전자 +5.00%, 비에이치 +4.86%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스마트폰 주요 부품 이미지센서, 카메라모듈, 기판, 필름 등
✔ 폴더블폰 부품 커버윈도우·특수보호필름·힌지 등 원가 높아
✔ '25년 온디바이스AI 경쟁 본격화..출하량의 3분의 1 이상 AI 스마트폰 전망 ▶ 산업 개요 초기 스마트폰은 단순한 음성 통화 및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했으나 점차 더 많은 기능들이 탑재되면서 진화를 거듭. 스마트폰은 바(Bar) 형태로 엣지, 베젤리스에 이어 전면이 디스플레이인 풀스크린으로 발전. 바(Bar) 형태의 스마트폰이 주를 이루면서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기 어려워지자 차별화를 앞세우며 등장한 것이 폴더블폰. 폴더블폰은 말 그대로 접을 수 있는 스마트폰. 형태는 크게 안으로 접히는 ‘인폴딩’과 밖으로 접히는 ‘아웃폴딩’, 양쪽으로 접을 수 있는 ‘인앤아웃폴딩’ 등 세 가지 방식으로 나뉨. 폴더블 스마트폰은 디스플레이가 핵심. 폴더블폰 원가에서 디스플레이가 차지하는 비중은 30~40%로 기존 스마트폰의 15~20%대비 월등히 높음. 디스플레이의 주요 소재는 커버윈도우(UTG 혹은 CPI), 특수보호필름, 힌지, PI 바니쉬, 베이스필름 등이 있음. 부품 가격은 UTG가 가장 고가. 이어 외장힌지, 내장힌지, 특수보호필름 순으로 높은 단가를 형성. ▶ 산업 전망 폴더블폰의 성장은 삼성전자의 4세대 갤럭시Z시리즈가 견인. 이후 삼성전자의 폴더블폰 흥행은 중화권(샤오미, 오포, 비보) 및 애플 등 경쟁사들의 폴더블폰 출시를 가속화. 2025년은 온디바이스(기기내장)AI 경쟁이 본격화되는 원년이 될 것으로 예상. 카운터포인트는 올해 전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의 약 3분의 1이 생성AI 기능을 탑재한 AI스마트폰이 될 것이라고 전망. 온디바이스 AI와 AI 서버, 데이터센터 등의 수요가 폭증함에 따라 MLCC와 FC-BGA, 유리기판 등의 판매가 중장기적으로 고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출처: KB증권). 올해 전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은 12억2300만대로 추정. 전년(11억4100만대) 대비 7.1% 증가한 수준(출처:옴디아). 트럼프 2기가 집권한 가운데 스마트폰에 대한 상호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은 제한적으로 판단. 또한 중국은 이구환신 보조금 (스마트폰 대당 최대 10만원) 과 향후 추가적인 중국 내수경기 부양책 시행에 따른 수혜 기대(출처:KB증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