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비만 치료제 테마, 인벤티지랩 +22.74%, 큐라티스 +14.82%

증권플러스 | 2025.04.29 오전 09:11

[뉴스봇] 비만 치료제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68% 상승세이다. 인벤티지랩 +22.74%, 큐라티스 +14.82%, 블루엠텍 +6.72%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비만 치료제 시장 규모 '24년 150억 달러→ '30년 770억 달러 ✔ 삭센다, 위고비 등 당뇨병 치료제였던 GLP-1 유사체 비만 치료제로 활용 ✔ 국내 업체들도 GLP-1 계열 비만 치료제 개발에 속도
비만이란 체중과 체지방이 과다하게 증가한 상태로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심뇌혈관질환 등과 같은 질환이 연관되어 있는 만성 질환.
세계보건기구(WHO)의 비만 기준은 BMI로 서양인 30이상, 아시아인 25이상으로 해당 기준에 따르면 2021년 전 세계 비만인구는 약 1억9000만명에서 2031년 2억1000만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
비만치료제는 크게 식욕억제제, 지방흡수 억제제, 클루카곤유사 펩타이드(GLP-1) 유사체로 나눌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장기간 사용이 허가된 약물은 로카세린(lorcaserin), 오르리스타트(orlistat), 콘트라브 (Contrave), GLP-1 작용제 (피하주사제) 등이 있음.
비만치료제를 사용할 때는 단기간 사용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으로 필요한 경우가 많음. 대부분의 비만약물은 모두 중추신경계에 작용해 이와 연관된 부작용이 있었던 반면, GLP-1 유사체는 독립적으로 작용해 부작용이 적은 편.
GLP-1 유사체는 원래는 당뇨병 치료제였던 것들이 체중 감량 효과가 나타나자 비만 치료제로 주목받기 시작. 음식물을 섭취하면 GLP-1이 분비돼 뇌에 배고픔을 줄이겠다는 신호를 전달하지만, 체내 GLP-1은 우리 몸에서 반감기가 1~2분밖에 되지 않음. 이것을 잘 분해되지 않게 개발한 것이 GLP-1 유사체. 최근 GLP-1 유사체 약물은 중독치료, 알츠하이머, 파킨슨, 난임 등에 치료 효과까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21세기 만병통치약’ 후보로도 조명.
2014년 최초의 GLP-1 효능제 비만치료제인 노보 노디스크의 삭센다가 FDA 승인을 받아 시판. 2021년 노보 노디스크는 1일 1회 주사를 놓아야 하는 삭센다의 단점을 줄인 GLP-1 '위고비'를 출시. 위고비는 1주일 1회만 주사하면 되는 당뇨료제로, '24년 10월 15일부터 국내 판매 시작. 식약처 허가를 받은 후 출시까지 약 18개월이 걸린 셈.
또 미 제약사 일라이일리도 당뇨약으로 허가받은 마운자로와 같은 성분으로 만든 비만치료제 '젭바운드'를 개발·판매. 일라이릴리는 젭바운드와 위고비의 직접 비교 임상 3b상 SURMOUNT-5 결과를 공개(2024.12.04). 젭바운드가 위고비 대비 47% 더 많은 체중을 감소시키고 평균 비만환자에게서 -20.2%의 체중감소를 확인.
이에 노보노디스크는 젭바운드와 경쟁을 위해 아밀린 작용제인 카그리린티드와 위고비를 병용하는 카그리세마의 임상 3상 직접비교를 개시. 해당 임상 결과는 2025년 중순쯤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GLP-1 비만 치료제들의 체중 감소 수준이 20% 내외까지 높아지면서 체중 감량의 절대치보다 체중 감량의 질(높은 체지방 감소와 함께 근육량 감소 최소화)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GLP-1 비만 치료제간 주요 경쟁력이 될 것으로 전망. 또한 GLP-1 계열을 활용한 경구용 비만 치료제 개발에도 박차. 주사에 대한 거부감이 높은 환자들의 접근성을 높이면서 한번 더 시장 확대가 예상되기 때문(출처: 유안타증권).
노보노디스크는 위고비 주성분인 세마글루타이드를 경구용 제제로 개발 중. 현재 임상3상을 진행 중. 미국 일라이릴리도 GLP-1 수용체 활용한 경구용 비만약을 개발 중이며 2026년 출시 목표로 임상 3상을 진행 중. 국내에서도 디앤디파마텍, 대웅제약 등이 임상 연구를 진행 중.
글로벌 투자리서치 기업 모닝스타 및 피치북 애널리스트에 따르면 16개의 비만 신약이 2029년까지 출시될 예정. 국내 제약사들도 비만 치료제를 차세대 먹거리로 정하고 혁신신약을 개발하기 위해 박차. 국내 비만약 제품 중 가장 앞서있는 곳은 한미약품으로, GLP-1 비만 신약의 상용화 시점을 오는 2026년 하반기로 설정.
한편, 세계보건기구(WHO)는 비만치료제를 필수 의약품 목록에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으로 알려짐. 모건스탠리는 전 세계 비만약 시장 규모가 2024년 150억 달러(약 20조8800억원)에서 2030년 770억 달러(약 107조1800억원)로 커질 것으로 전망.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22.74%
IVL-GeneFluidic 기반 기술을 이용한 펩타이드 성분의 비만치료제 약물 경구제 개발 중. 또한 유한양행과 비만·당뇨 치료 장기지속형 주사제에 대한 공동개발 계약도 체결.
+14.82%
최대주주인 인벤티지랩에서 CDMO 용역을 받아 생산. 인벤티지랩이 임상시험을 준비중인 후보물질들의 임상 시료 및 상업용 생산을 담당. 2026년부터 유한양행과 공동 개발 중인 장기지속형 비만약 임상 시료 등을 생산할 예정.
+6.72%
의약품 유통업체로 노보 노디스크의 비만치료제인 ‘삭센다’를 국내에 유통.
+5.71%
혁신신약 연구 개발 기업. 미국 멧세라사와 함께 DD02S 및 DD03을 포함한 GLP-1 계열 경구형 펩타이드 비만 치료제 개발 중(출처: 투자설명서).
+3.39%
펩타이드 기반 치료제 ‘NP-201’이 지방 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를 도출하면서 비만치료제로 적응증 확대 돌입.
+3.10%
GDF15 억제제를 활용한 비만 치료제 신약 YH34160에 대한 전임상 진행 중.
+2.43%
중국 바이오기업 사이윈드바이오사이언스와 GLP-1 기반 물질인 에크노글루타이드의 국내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한 라이선스 및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
+2.05%
제2형 당뇨병 치료제와 비만 치료제인 GLP-1 리셉터에 대한 작용제 ‘GX-G6’을 개발 중. 제2형 당뇨와 비만 각 적응증에 대해 중국에서 임상 2상을 진행 중(출처: 2024년 반기보고서)
+1.90%
친환경 용매를 이용한 리라글루티드 비만 치료제의 시제품 제조 R&D 연구개발 국책과제 참여 이력 보유. ‘리라글루티드’는 인체 내 호르몬인 GLP-1과 동일한 기전으로 작용하는 GLP-1 유사체 비만 치료제.
+1.86%
대원제약과 공동 개발 중인 마이크로니들 패치 비만치료제 ‘DW-1022’의 임상 1상 시험 계획(IND) 승인 완료. 글로벌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의 비만치료제 ‘위고비(성분명 세마글루티드)’ 주사제를 마이크로니들 패치 제형으로 개발하는 연구 진행.
+1.67%
의약품 품질검사 전문업체. 노보노디스크와 비만치료제 위고비 유통 전 단계에서 데이터 유효성 등을 비롯한 의약품 품질검사를 진행하는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짐.
+1.46%
GLP-1 계열 비만 치료제 ‘에페글레나타이드’(개발명 HM11260C)에 대한 국내 임상 3상 진행 중.
+1.41%
차세대 비만치료제 ‘GI-213’을 개발 중. 물질 특허 출원을 완료(2024.08.06).
+1.37%
바이오 개량 신약 당뇨·비만치료제 PT403을 개발 중. 1개월 혹은 그 이상의 (2개월) 지속형 당뇨비만 치료제로 개발 목표.
+1.32%
펩진과 삭센다(리라글루타이드),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의 바이오시밀러 공동 제품화 계약을 체결(2024.04.05).
+1.29%
휴메딕스와 함께 GLP-1 수용체 계열 장기지속형 비만치료제를 개발 중.
+1.13%
FDA로부터 희귀의약품에 지정된 바 있는 유전성 비만치료제 ‘LB54640’을 개발 중. 포만감에 관여하는 단백질 멜라노코르틴4 수용체(MC4R)를 겨냥한 경구용 비만 치료제.
+0.92%
GLP-1 수용체와 GIP 수용체에 이중 작용하는 경구용 비만 치료 후보물질을 발굴해 국내 특허를 출원. 티온랩 테라퓨틱스, 대한뉴팜, 다림바이오텍과 ‘비만 치료 4주 지속형 주사제’ 공동 개발을 위한 계약을 체결.
+0.75%
HLB제약과 함께 GLP-1 수용체 계열 장기지속형 비만치료제를 개발 중.
+0.63%
비만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동시에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 ‘OLX702A’를 개발 중.
+0.60%
프로앱텍과 지속형 당뇨 비만 치료제를 공동 연구개발하고 상용화하기로 계약.
+0.22%
자회사 뉴로보 파마슈티컬스는 GLP-1 계열 비만 치료제 후보물질 ‘DA-1726’ 임상 1상 진행 중.
+0.08%
경구용 GLP-1 수용체 작용제로 개발 중인 당뇨병 후보물질 ‘ID110521156’ 국내 임상 1상 시험계획(IND) 승인 완료. 제2형 당뇨병, 비만 등을 타깃으로 하는 경구용 신약으로 개발 계획.
+0.07%
라파스와 공동 개발 중인 마이크로니들 패치 비만치료제 ‘DW-1022’의 임상 1상 시험계획(IND) 승인 완료. 글로벌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의 비만치료제 ‘위고비(성분명 세마글루티드)’ 주사제를 마이크로니들 패치 제형으로 개발하는 연구 진행.
-0.84%
인도 제약사 바이오콘이 개발한 삭센다 바이오시밀러인 리라글루티드 성분의 비만치료제에 대한 국내 독점 판매 및 유통 계약을 체결.
-1.04%
대량생산 및 상온보관이 가능한 AI기반 GLP-1 수용체 작용제 계열의 경구용 비만치료제 개발 중. GLP-1 기반 다중(2~3중) 작용 펩타이드 주사용 비만치료제도 개발 중.
-3.39%
자회사인 커서스바이오가 개발 중인 항비만 유전자치료제 기반 비만 및 당뇨 치료용 신약이 2024년도 제2차 국가신약개발사업(KDDF) 후보물질 단계에 선정.
비만 치료제 테마 차트
  • 3개월 등락률
    +24.57%
  • 1개월 등락률
    +18.42%
  • 1주 등락률
    +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