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인쇄회로기판(PCB) 테마, 와이제이링크 +22.06%, LG이노텍 +4.25%

증권플러스 | 2025.04.23 오후 01:19

[뉴스봇] 인쇄회로기판(PCB)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85% 상승세이다. 와이제이링크 +22.06%, LG이노텍 +4.25%, 뉴프렉스 +3.86%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PCB, 집적 회로 등의 전기적 부품들이 납땜되는 판 ✔ 서버용 반도체·AI·자율주행·5G 통신 성장 시 수혜 ✔ AI관련 투자 확대로 네트워크 장비향 MLB 기판 수요 증가 전망
PCB(인쇄회로기판)는 다수의 전자 부품을 표준화된 방식으로 고정 및 연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배선이 패턴화되어 있는 기판. PCB는 전기 배선을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기기 크기를 줄이고 성능을 높임.
PCB는 설계 - 기판 - 표면처리(도금) - 가공 - SMT(부품실장) - 모듈화 공정을 거쳐 하나의 부품으로 사용. 주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생활가전, 소형가전, 자동차 전장부품 등에 활용.
PCB는 형상에 따라 단면 PCB, 양면 PCB, 다층면 PCB, FPCB(연성회로기판)으로 구분. 단면 PCB는 한쪽 면에만 부품을 장착한 것으로 라디오, 전화기 등 회로 구성이 비교적 단순한 제품에 사용. 양면 PCB는 회로가 상하 양면으로 형성된 PCB로 단면에 비해 고밀도 부품 실장이 가능해 TV 등에 사용.
다층 PCB(MLB)는 입체배선에 의한 고밀도 부품실장 및 배선 거리의 단축이 가능한 제품으로 AI 가속기, 컴퓨터, 휴대폰, 통신(5G) 등의 정밀기기에 사용. FPCB는 유연한 기판으로 휴대폰 및 테블릿에 적합하며 열 변형률이 적어 의료장비 또는 자동차(전장) 분야로 확대 추세.
스마트폰 PCB는 글로벌 스마트폰 업체들의 디스플레이(OLED 채택 비중확대)와 카메라(개수 확대) 트렌드 변화에 수혜 기대. 통신용 PCB(MLB)는 주요 국가의 5G 인프라 투자 시 긍정적. 전기차 시장 성장에 따른 자동차향 PCB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 SA에 따르면 자동차 원가 내 전장부품의 비중은 30~40%, 전기차는 70% 수준.
고부가 PCB로 분류되는 플립칩-볼그리드어레이(FC-BGA), 플립칩-칩스케일패키징(FC-CSP) 등의 기판도 있음. FC-BGA는 칩보다 기판 크기가 더 커서 서버, 노트북, 전장 등에 탑재. FC-BGA는 상대적으로 고가이며, AI 등 고성능을 요구하는 고부가가치 제품에 주로 탑재. FC-CSP는 칩과 기판 크기가 같아 모바일 기기 등에 탑재.
PCB 산업은 CPU 세대 변화에 따라 기판 면적 증가, 데이터 사용량 증가에 따른 서버용 반도체 출하 성장, AI, 자율주행 등 발전, 5G 통신 세대 변화 등으로 장기적인 수요 강세가 전망됨(출처: 케이프투자증권).
특히 2025년에는 AI 관련한 투자 확대로 겹겹이 쌓아 올리는 MLB(Multi Layer Board) 수요 증가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데이터센터 내 AI 연산 장치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상호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기술이 중요하기 때문. 네트워크 장비향 다층 PCB(MLB)는 AI 인프라의 메인기판으로 사용. 2023년~2024년까지 어려움을 겪었던 메모리 기판 업종도 올해 반도체 기업들의 기판 재고 조정 마무리와 전방 수요 회복 등으로 전년 대비 업황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출처: 한국투자증권).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22.06%
PCB에 SMT, SMD 부품을 부착해 PCB Assembly를 제조하는 SMT 공정장비를 제조 및 판매. 주요 제품은 크게 PCB이송장비, PCB추적장비, SMT 후공정 장비,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등.
+4.25%
통신용 반도체 기판인 RF-SiP, 테이프 서브 스트레이트, 고성능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에 쓰이는 플립칩칩스케일패키지(FC-CSP) 등의 제품 보유. 기판신규 사업으로 FC-BGA 육성 가속화를 추진.
+3.86%
삼성전자향 스마트폰(메인보드) FPCB·PCB 등 생산.
+3.30%
애플·LG전자향 스마트폰(카메라모듈, 메인보드) FPCB·PCB 가공 및 SMT(부품실장) 업체.
+3.12%
메모리 반도체 모듈 PCB 제조.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2.87%
핸드셋·통신·서버 등에 활용되는 MLB(다층인쇄회로기판) 제조. 주요 고객사는 시스코, 노키아, 삼성전자 등. 자회사 이수엑사보드(지분율 100%)를 통해 핸드셋용 HDI(메인보드 기판)와 FPCB 등을 생산.
+2.42%
PCB 자동화 생산에 필요한 제조설비 생산·판매하는 장비업체. 주요 제품은 식각, 표면처리 관련 등의 습식 설비.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기, LG이노텍 등.
+2.31%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전자향 스마트폰(메인보드, 카메라모듈) FPCB, 메모리향 패키지기판 제조사. 신사업으로 FC-BGA 기판 사업 영위.
+2.22%
영풍의 자회사(지분율: 39.75%)로 PCB를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 종속기업 중 테라닉스(지분율: 50.09%)는 특수 PCB를, 인터플렉스(지분율: 30.56%)는 FPCB를, 시그네틱스는 반도체 패키징업을 영위.
+2.18%
반도체 패키지 기판과 디스플레이용 경연성 인쇄회로기판(RFPCB) 생산·판매 업체.
+2.12%
애플향 스마트폰(OLED, 메인보드) FPCB·PCB 가공 등 생산.
+2.06%
애플·삼성전자향 스마트폰(OLED, 메인보드) FPCB·PCB 가공 업체.
+2.05%
비에이치의 자회사(지분율: 27.67%)로 SMT(부품실장)를 통한 FPCA 모듈 개발·생산. 주요 제품은 스마트폰 및 스마트 와치용FPCA.
+1.67%
PCB, 반도체 등 전자부품 제조에 이용되는 화학소재 개발·생산.
+0.60%
삼성전자향 스마트폰(메인보드) FPCB·PCB 가공 업체.
+0.60%
삼성전자향 FPCB 제조 및 SMT(부품실장) 업체.
+0.45%
SMT(표면실장기술)를 통해 FPCB에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등을 실장한 스마트폰 FPCA 생산. 삼성디플레이에 주로 공급.
NPX
0.00%
PCB 검사장비인 BBT 등을 생산. 3대 PCB로 알려진 FPC, HDI, Package PCB에 대응 가능한 제품 포트폴리오 보유. 주요 고객사는 난야, CCTC 등.
0.00%
아연괴 및 기타 유가금속등을 제조, 판매하는 종합비철금속제련회사. PCB를 제조, 판매하는 코리아서키트(지분율: 39.75%) 지분을 보유.
-1.18%
표면실장기술(SMT)을 활용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배터리,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FPCA 생산.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전기 등에 공급.
인쇄회로기판(PCB) 테마 차트
  • 3개월 등락률
    -2.64%
  • 1개월 등락률
    -10.42%
  • 1주 등락률
    +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