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면역세포치료제 테마, 네이처셀 +29.88%, 박셀바이오 +28.36%

증권플러스 | 2025.04.22 오후 02:14

[뉴스봇] 면역세포치료제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88% 상승세이다. 네이처셀 +29.88%, 박셀바이오 +28.36%, 코오롱생명과학 +7.74%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면역세포치료제, T세포를 강화·변형시켜 암 세포를 제거 ✔ 대량 배양 가능하며 부작용 적은 NK세포치료제 주목 ✔ 글로벌 세포치료제 시장 2026년까지 매년 61% 성장 전망
면역세포 치료제는 백혈구 속의 T세포를 채집한 뒤 몸 밖에서 강화, 변형시킨 뒤 다시 몸에 주사해 암 세포를 죽일 수 있도록 하는 면역항암제.
면역세포치료제는 키메릭항원수용체(CAR)-T 세포치료제, NK(자연살해)세포 치료제 등이 있음.
CAR-T 세포치료제는 체내의 면역세포를 꺼내 항체의 바이러스 벡터를 활용해 암세포에 특이적인 CAR를 발현시킨 뒤, 다시 넣어주는 방식의 새로운 항암제를 말함. 현재 백혈병, 림프종 등의 혈액암에서 완치 수준의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 이후 고형암으로 적용 범위 확대를 위한 연구가 진행 중.
다만 CAR-T 세포치료제는 자가 치료제로 대량 배양이 어려워 치료 비용이 높으며, 유전자 변형 공정이 복잡하여 즉각적인 투여가 어려움. 또한 주요 부작용 중 세포 독성물질인 사이토카인으로 인한 과다 면역체계 반응인 사이토카인 시드롬 및 신경독성 발생 위험 등의 단점이 있음.
CAR-T 치료제의 부작용을 줄이며, 동종 세포를 활용해 대량 배양이 가능한 NK세포치료제에 주목. NK세포는 면역계에서 1선을 담당하는 선천면역세포 중 하나로 암세포에 대해 선택적인 세포독성을 나타냄.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면역수용체를 통해 정상세포와 암세포를 구분할 수 있어 다른 면역세포와 달리 암세포를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바로 제거할 수 있음.
아울러 NK세포는 암세포의 발생, 증식, 전이의 억제와 더불어 암의 재발에 관여하는 암 줄기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CAR-T를 이을 세포치료제로 떠오름.
국내 제약바이오, CDMO 기업들은 세포·유전자 치료제의 상용화와 생산 수요 증가에 따라 세포 치료제 분야를 신성장동력 중 하나로 낙점하고 R&D 등을 진행.
세포치료제 시장 전망도 긍정적. Evaluate Pharma에 따르면 글로벌 세포치료제 시장은 2021년 22억달러(한화 2조 5000억원)에서 매년 61% 성장해 2026년 240억딜러(한화 27조 5000억원)에 달할 전망.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29.88%
자연살해세포(NK세포)를 이용한 면역세포치료제 연구를 진행 중.
+28.36%
항암면역치료제 개발 전문 회사로 CAR-T와 CAR-NK, CAR-MIL 치료제 등을 연구개발 중. 고형암 타깃 항PD-L1 CAR 면역세포치료제의 국제특허(PCT)를 출원.
+7.74%
약 성분인 바이러스가 종양세포에 투입하면 이 바이러스가 증식돼 종양세포를 터뜨리고, 면역세포들이 몰려들어 종양세포를 공격하도록 하는 항암 바이러스 신약물질 ‘KLS-3021’ 개발 중.
+6.78%
이중항체 기술을 기반으로 면역항암제 개발. 주요 파이프라인은 B7-H4와 4-1BB를 동시에 표적하는 이중항체 ‘ABL103’, 이중항체 면역항암제 ‘ABL503’ 등.
+5.57%
NK세포 대량 배양기술을 보유. 미 소렌토와 함께 CAR-NK 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한 합작사를 설립. 면역세포치료제 연구개발 진행.
+4.55%
자회사 카텍셀을 통해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T세포 치료제 개발 중.
+4.18%
인터루킨-7과 hyFc를 융합한 항암면역치료제인 유전자재조합 단백질 신약 ‘GX-I7’ 개발 중.
+2.62%
세포치료제 및 검체검사서비스, 제대혈 은행 등의 사업을 영위. 자연살해세포(NK)를 활용한 면역항암제 ‘MG4101’ 개발 진행중.
+1.39%
캐나다 CDMO회사인 옴니아바이오를 인수해 국내 GMP생산시설 내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전용 클린룸 등을 구축.
+1.34%
면역관문억제제인 옵디보(Opdivo, 성분명: 니볼루맙)의 바이오시밀러 ‘ISU106’을 러시아 제약사 알팜에 기술 이전 계약 체결. 또 암세포의 특정 표적을 타깃하고 면역관문을 억제하는 삼중항체 플랫폼을 개발 중.
+1.16%
종속사인 미국현지법인 STCube Pharmaceuticals, Inc.를 통해 면역항암치료제 등 바이오 신약 개발 중. 주요 파이프라인은 면역관문억제제 ‘넬마스토바트(hSTC810)’로 글로벌 임상 진행 중.
+1.00%
차세대 면역 기반 항암제를 개발하는 바이오 벤처 기업. T세포 치료제, CAR-T세포 치료제, 면역 항체 치료제에 대한 자체 기술력을 보유. 앱비앤티 미국 FDA 희귀의약품 지정.
+0.93%
면역세포치료제 전문 바이오기업. T세포를 이용한 바이티어, 감마델타 T세포를 이용한 바이레인저, 대식세포를 이용한 바이메디어의 3가지 면역세포 플랫폼 보유. 대표 파이프라인은 바이티어 플랫폼을 이용한 NK/T 세포 림프종 면역항암제.
+0.83%
항암면역치료백신 기반기술인 CeliVax와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기반 감염병 예방백신 기반기술인 Ad5/35를 보유. 자궁경부암 백신 ‘BVAC-C’, 위암 백신 ‘BVAC-B’, 전립선암 백신 ‘BVAC-P’ 임상을 국내에서 수행.
+0.47%
T세포 증폭제 개발업체. 주요 파이프라인은 T세포 증폭제 NT-17(성분명 에피넵타긴 알파)로, 빅파마 3개사(로슈, 머크, BMS)와 글로벌 임상 진행 중.
+0.18%
혈액 내 면역세포(T세포)로 암세포를 제거하는 키메릭항원수용체 T세포(CAR-T) 치료제 개발.
0.00%
항체 치료제 개발사. 주요 파이프라인은 T세포를 활성화하여 항암 면역 반응을 증진시킨 면역관문억제제 ‘PMC-309’ 등.
0.00%
자가면역세포치료제 최초로 미국 임상 진행 중으로 2020년 중 1상 결과 확인. NK뷰키트(NK세포 활성수치 진단키트) 개발사 에이티젠과 NK 면역세포치료제 연구기업 엔케이맥스 합병 법인으로 암세포를 강력하게 살생하는 Super NK 활용 면역세포치료제 개발 중.
-0.27%
경기 하남에 세포유전자치료제 플랫폼을 구축. 4개의 CAR-T, CAR-NK세포치료제를 개발 중.
-0.44%
난치성 질환 치료 목적의 항체신약 개발사. 보유 기술은 CAR-T 등 플랫폼 기술로, 혈액암 대상 CAR-T치료제 AT101 임상 1상 진행 중.
-0.70%
재발성 또는 불응성 말초 T세포 림프종을 대상으로 삼중억제제인 ‘BR2002(개발명)’ 개발 중.
-0.73%
중국 항서제약으로부터 면역관문억제제인 캄렐리주맙의 국내 판권 도입. 또 HLB와 협력해 캄렐리주맙과 리보세라닙 벙용 요법에 대한 국내 신청도 준비.
HLB
-0.75%
표적항암제 ‘리보세라닙’과 면역항암제 ‘캄렐리주맙’의 병용 요법을 통해 간암 1차 치료제 개발 및 임상 3상 완료.
-1.15%
세포유전자치료제를 개발·제조하는데 필수적인 소재인 세포 배양 배지의 생산. 주요 제품은 3세대 화학조성배지 ‘셀커(CellCor)’ 등.
-1.38%
동종유래 CAR-T 치료제인 ‘LR19023’을 개발 중. 향후 고형암 치료제로 개발할 계획.
CBI
-2.35%
미국 신약 개발회사 ‘키네타’ 지분 보유. 키네타는 중증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면역억제세포 ‘VISTA’를 표적으로 하는 면역항암제 ‘KVA12123’ 개발 중.
-3.00%
미국 면역항암제 기업 ‘이뮤노멧 테라퓨틱스’의 지분인수로 최대주주 등극. ‘이뮤노멧 테라퓨틱스’는 현재 정상세포의 몇배에 달하는 에너지를 빨아들이는 암세포를 막아 암세포 증식을 제한하는 기술 연구 중.
-5.71%
이중융합단백질 후보물질 발굴 플랫폼 GI-SMART를 통해 신약개발. 주요 파이프라인으로는 면역항암제 GI-101(고형암 타겟), 피하주사형 면역항암제 GI-102, 알레르기 치료제 GI-301 등이 있음.
면역세포치료제 테마 차트
  • 3개월 등락률
    +6.42%
  • 1개월 등락률
    +8.91%
  • 1주 등락률
    +6.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