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건자재 - 시멘트·레미콘·콘크리트 테마, 성신양회 +16.14%, 보광산업 +16.09%

증권플러스 | 2025.04.18 오전 10:47

[뉴스봇] 건자재 - 시멘트·레미콘·콘크리트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59% 상승세이다. 성신양회 +16.14%, 보광산업 +16.09%, 홈센타홀딩스 +11.26%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시멘트 업계 실적 원자재인 유연탄가격, 건설경기에 변동 ✔ '25년 전반산업 악화·전기료 인상에 시멘트사 이익 감소 전망 ✔ 판매가 변동·남북경협·돼지열병(ASF) 이슈에 주가 반응
시멘트 산업은 대규모의 설비투자가 요구되는 자본 집약적 장치산업. 업체 간 품질이나 생산기술 상의 차별성이 뚜렷하지 않아 제조원가나 물류비용의 절감을 통한 원가경쟁력이 주된 경쟁요소로 작용.
시멘트 업계의 실적은 주 원자재인 유연탄 가격과 전방산업인 건설경기에 변동. 통상 시멘트 1톤을 생산할 때 유연탄 0.1톤이 필요하고, 유연탄 가격은 시멘트 제조원가의 30~40%를 차지. 주로 해외에서 수입해 국제 자원 가격 및 환율에 영향을 받음. 증권가에 따르면 시멘트 가격이 톤당 1만원 가량 인상될 경우 평균 매출이 약 15% 증가.
시멘트 업체가 순환자원 처리시설을 갖춘 경우 수익성 개선 효과가 기대됨. 시멘트 제조과정에서 쓰이는 유연탄(석탄)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가격 변동에 취약. 하지만 순환자원 처리시설을 가동하면 연료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음.
2025년 국내 시멘트사들의 전반적인 실적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 매출액은 전년대비 7~21% 감소, 영업이익은 20~42% 감소로 추정. 전방 산업 악화로 인한 시멘트 출하량 감소 속 전기료 인상 영향(출처: 하나증권).
레미콘·콘크리트 산업은 시멘트 업계와 동일하게 제한된 시간, 지역 내 건설현장에 납품하기 때문에 업체 간 경쟁 심화. 국내 건설 경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건설경기가 좋아지면 업황도 개선.
시멘트업체가 시멘트 가격을 올리면 레미콘 제조업체들은 통상 레미콘 단가 인상을 건설사에 요구하는 구조.
한편 시멘트·레미콘·콘크리트 업체는 2018년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북경협 수혜주로 부각. 남북경협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 레미콘 업계는 골재 등 부족한 원료 공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북한 연간 시멘트 생산능력이 1200만톤으로 남한 6200만톤 대비 열악해 국내 시멘트 업계의 협조가 필요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
더해 시멘트 원료인 생석회를 생산하는 시멘트 기업이 돼지열병 수혜주로 부각되기도 함.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 방지를 위해 농장 차단방역에 효과적으로 알려진 생석회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16.14%
시멘트, 레미콘의 제조 판매업체. 레미콘 사업은 지배회사인 성신레미컨을 통해 영위.
+16.09%
대구/경북 지역 최대 골재 생산가능 석산 확보로 지역내 골재 및 레미콘의 경고한 시장 지배력 가지고 있음. 골재→운송→레미콘/아스콘으로 이어지는 수직계열화 달성.
+11.26%
건설현장의 기초재료인 골재, 레미콘과 아스콘을 제조해 판매. 에이치씨보광레미콘, 에이치씨황재레미콘, 에이치씨보광콘크리트 등을 거느린 지주회사.
+2.99%
레미콘 제조업체. 시멘트, 골재 사업도 영위.
SG
+2.89%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및 레미콘 생산, 판매업체. 아스콘 제조업체 화신아스콘, 영종아스콘을 자회사로 보유.
+2.09%
레미콘 제조업체. 콘크리트, 경량, 포장, 고강도 콘크리트 등의 사업도 운영.
+0.91%
구축물에 사용되는 레미콘을 생산 및 판매.
+0.77%
레미콘 업체로 동양 인수통해 리미콘 사업의 전국망 확보.
+0.51%
시멘트 생산업체. 특수시멘트, 레미콘, 레미탈, 고강도 혼합재 등도 취급.
+0.50%
고강도 콘크리트파일 생산 및 철구조물 제작 설치.
+0.39%
시멘트 제조 및 판매. 연간 750만톤 규모의 시멘트 생산능력을 보유.
+0.33%
삼척공장에서 시멘트를 생산해 전국 출하 기지를 통해 시멘트 및 2차 제품을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 종속 회사인 삼표레미콘을 통해 레미콘 사업도 영위.
0.00%
시멘트, 레미콘의 제조 판매업체. 종속회사로 한라시멘트, 삼성레미콘, 아세아레미콘 등을 보유.
-0.08%
콘크리트 및 레미콘 흄관 생산업체.
-0.34%
건설공사의 필수 기초자재인 콘크리트(PHC) 파일 제조. PHC파일은 건설 현장 초기 지반을 단단하게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
-0.38%
아세아시멘트와 한라시멘트, 아세아레미콘, 삼성레미콘 등을 거느린 지주회사.
-1.50%
자동차용 워터펌프 제조사로 주로 한국GM 등에 공급. 시멘트용 석고를 시멘트사에 공급하는 석고사업도 영위.
-1.66%
강동그룹 계열의 시멘트 제조사. 충남 이남 지역에서 유일하게 포틀랜드 생산. 주영업권역은 전라권(광주, 전남, 전북).
-1.67%
건축자재 기업으로 백시멘트, 알루미나시멘트, 타일시공 사업 영위.
건자재 - 시멘트·레미콘·콘크리트 테마 차트
  • 3개월 등락률
    +1.41%
  • 1개월 등락률
    +7.13%
  • 1주 등락률
    +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