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희토류 테마, 노바텍 +15.47%, 유니온 +7.89%

증권플러스 | 2025.04.16 오전 09:47

[뉴스봇] 희토류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87% 상승세이다. 노바텍 +15.47%, 유니온 +7.89%, 유니온머티리얼 +3.77%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전기·전자·촉매·광학·초전도체 등에 사용되는 희귀한 금속 ✔ 세계 희토류 생산량의 대부분 중국 생산..미국 대부분 수입 ✔ 미·중 무역갈등 심화, 희토류 가격 상승시 주가 오르는 경향
희토류(rare earth elements)는 물질의 지구화학적 특성상 경제성이 있을 정도로 농축된 형태로는 산출되지 않아 광물 형태로 희귀해 ‘자연계에 매우 드물게 존재하는 금속 원소’라는 의미를 지님. 원소기호 57번부터 71번까지의 란타넘(란탄)계 원소 15개와 21번인 스칸듐(Sc), 그리고 39번인 이트륨(Y) 등 총 17개 원소를 총칭.
희토류는 열과 전기가 잘 통하기 때문에 전기·전자·촉매·광학·초전도체 등에 쓰임. 최근에는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전기자동차에 포함되는 모터의 필수부품인 영구자석을 생산하는 데 전체 희토류의 약 30%가 사용. 이외 풍력발전용 터빈, 군사 무기 체계, 형광체 및 광섬유, 원자로 제어제로 등 각종 제조업의 핵심으로도 널리 사용.
2021년 기준 세계 희토류 점유율은 중국 60%, 미국 15%, 미얀마 9.38%, 호주 7.94%, 태국 2.89% 순(출처: 스태티스타). 우리나라의 희토류 금속에 대한 중국 수입 의존도는 91.2%에 달함(출처: 한국무역협회).
1992년 덩샤오핑이 ‘남순강화’를 통해 “중동에 석유가 있다면 중국에는 희토류가 있다”고 언급함으로써 희토류는 중국의 전략적 자산으로 등장. 2000년대 들어 ‘희토공업발전계획’과 ‘희토산업발전정책’ 등을 잇달아 발표하면서 희토류 업체의 대형화, 생산량 통제 및 수출 쿼터 정책을 포함한 관리강화 정책을 시행.
미국의 대중 무역 제한 조치 확대에 맞서 중국은 희토류 무기화를 선언. 중국은 '중국 수출 금지·제한 목록' 개정판 발표에서 희토류 관련 가공기술과 고성능 자석 제조기술 추가한다고 발표(2023.12.21). 2023년 8월에는 갈륨과 게르마늄에 대한 수출 통제를 조치한 데 이어 12월부터는 여러 유형의 흑연을 규제.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중국은 세계 희토류 가공 및 정제 산업 점유율이 90%에 육박.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미국은 한 해 1만톤 전후로 희토류를 수입하는데, 이 중 중국에서 80%를 공급받음. 이에 미국도 중국의 의존도를 낮추고 자국 중심의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음. 미 희토류 광산업체인 MP머티리얼즈의 경우 희토류 정제를 위한 공정을 갖추고, 캘리포니아에서 희토류 가공량을 늘려옴.
희토류는 무게에 따라 경희토와 중희토로 분류되는데 중희토의 가격이 더 비싸고 분류 기술이 더 높은 편. 미국서 주로 개발 중인 공장은 경희토류. 유럽이나 미국에서 네오디뮴과 프라세오디뮴 등 경희토는 분리할 수 있지만, 여전히 중국산에 의존. 이번 가공 기술 수출 제한 조치로 중국서 중희토를 확보하는데 더 어려울 것으로 전망.
정부도 중국의 핵심광물 자원 무기화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희토류 국제표준화 전략'을 마련하고 2030년까지 표준물질 3종 도입 및 국제표준 8종 개발을 추진할 계획. 또한 안정적인 희토류 재활용을 위해 '재활용 표준 3종'도 추진(2023.04.19). 이밖에도 흑연, 요소, 희토류 중심의 '8대 산업 공급망 선도 프로젝트' 추진도 결정(2023.12.13).
하지만 중국 의존도 탈피가 쉽지만은 않을 것이라는게 전문가들 의견.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는 "미국은 희토류 광물 단일 공급원(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길 원하지만 완전한 독립을 기대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고 분석(출처: 한국무역협회).
한편, 국내 희토류 관련주는 주로 희토류 유통, 희토류 대체 소재 개발, 희토류 관련 광산 투자, 희토류를 이용한 제품 생산 업체들. 희토류 가격 상승 시 주가가 오르는 경향. 또한 무역전쟁 보복의 일환으로 중국의 희토류 수출 중단 및 관세 폭탄 이슈에 부각.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15.47%
영구자석 및 관련 응용제품 생산. 주요 제품으로는 자석(무선충전패드, 태블릿PC 본체 및 케이스/액세서리 등에 응용), 차폐자석(스마트 커버 및 센서인식 등에 응용), 심재(태블릿PC 커버 등에 응용) 등. 희토류 원재료인 네오디뮴을 생산해 삼성전자에 납품.
+7.89%
백시멘트, 알루미나시멘트 등 각종 특수시멘트 생산 업체. 종속회사로 희토류 대체품으로 주목받는 페라이트 마그네트 생산기업인 유니온머티리얼 지분 44.07% 보유.
+3.77%
자동차 전장부품과 가전기기 등 페라이트 마그네트를 생산하는 기업.페라이트 마그네트는 희토류 대체품으로 주목.
+2.85%
제강용 내화물 생산·판매. 희토류∙희소금속 광산을 보유한 호주 종합 광물기업 ASM과 저탄소·고순도 금속정제공장 공동개발 협약을 체결한 바 있음.
EG
+2.18%
페라이트(Ferrite) 자성소재 제조 업체로, 전기 전자기기의 주요 부품인 페라이트 코어의 주원료가 되는 자성재료용 산화철과 페라이트용 복합재료를 주로 공급. 유가금속 회수 및 무역사업을 하는 EG메탈 지분 88% 보유.
+1.65%
스테인리스 봉강 절삭가공 및 후판 전문업체. 희토류를 비롯해 티타늄, 니켈, 텅스텐, 몰리브덴 등 특수재질의 소재를 산업전반에 걸쳐 전문적으로 유통.
+0.77%
캐나다 몰리브덴 광개발 프로젝트 투자사업 진행 중. 2007년 한화 18억원 규모 투자로 현재 광개발권 지분 21% 확보.
0.00%
네오디뮴 영구자석 분말 (NdFeB-Powder)을 제조하는 케이씨엠인더스트리(지분율: 31.4%)와 네오디뮴 영구자석을 제조 및 자석관련 부품을 제조하는 앤에스월드(지분율: 17.3%)의 지분을 인수. 베트남 소재 Vietnam Rare Earth JSC사와 합작투자법인(JV) 지씨엠(지분율: 100%)을 설립. 베트남에서 희토류 산화물 공급받아 국내외 유통 및 가공생산 판매.
-2.44%
기초 무기화학물질(세라믹 비드제품) 제조사. 희토류 등 광물 분쇄에 필요한 필수 산업재인 세라믹 비드를 생산해 페인트/잉크, 제지, 광물 생산업체에 공급.
-3.42%
희토류와 전략자원을 채굴‧정제‧재활용하는 글로벌 기업에 투자(기초지수: MVIS Glabal Rare Earth/Strategic Metals Index).
희토류 테마 차트
  • 3개월 등락률
    +11.31%
  • 1개월 등락률
    +13.42%
  • 1주 등락률
    +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