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5G·6G 테마, 케이엠더블유 +7.84%, 자람테크놀로지 +7.20%

증권플러스 | 2025.04.14 오후 02:32

[뉴스봇] 5G·6G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07% 상승세이다. 케이엠더블유 +7.84%, 자람테크놀로지 +7.20%, 와이팜 +5.86%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5G 국내 가입자수 3100만명 돌파 ✔ '25년 미국과 중국 5G Advanced 경쟁 나설 듯 ✔ 정부 6G 주도권 확보 지원..'28년까지 4407억원 투입
5G란 초고대역 주파수 통신 기술. 5G는 최저 100Mbps에서 최대 20Gbps의 속도 시현, 4G LTE보다 70배 빠른 속도. 또한 에너지 효율성이 4G보다 100배 향상.
5G 통신장비를 도입할 때 주파수 경매 – 시범서비스 - 장비 발주(기지국) – 상용화 – 장비 후속 발주로 이뤄짐. 장비/인프라 투자를 다시 나눠 보면 기지국 중심의 투자가 시작된 후 6개월~1년을 시차를 투고 음영지역을 커버하는 중계기(인빌딩 단말기) 및 스몰셀 투자가 진행.
이러한 5G는 자율주행, 스마트팩토리, 원격의료가 가능해지고, 초연결성과 높은 에너지 효율성을 기반으로 대량의 IoT 기기가 연결되면서 스마트시티, 스마트홈/빌딩이 가능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
5G는 일반 소비자가 사용하는 3.5㎓ 대역과 메타버스·자율주행 등 고부가가치 산업이 이용할 28㎓ 대역으로 나눠짐. 5G 특화망 시장은 2027년까지 CAGR 37.8% 고성장을 보이며 71억달러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출처: 유진투자증권).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무선 통신서비스 통계 현황에 따르면 2024년 7월 기준 국내 5G 가입자 수는 3110만명. 전월보다 33만여 명 증가. 통신 3사의 5G 가입자 수는 2024년 상반기 내내 증가세를 보였지만 신규 가입자 증가 수는 점차 줄어드는 추세. 전월 대비 5G 신규 가입자 증가 수는 2024년 3월 46만9771명을 기록한 후 점차 줄어 7월에는 33만9314명에 그쳐.
국내 주파수 경매는 네트워크장비 업체들에겐 호재로 작용(출처: 하나증권). 2025년에는 국내 및 미국의 5G 추가 주파수 경매 이벤트가 발생될 것으로 전망. 특히 미국은 트럼프의 재집권으로 신규 주파수 경매 및 중국과의 5G Advanced 경쟁 이슈가 불거질 것으로 보임. AI에서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국 기업들이 5G 투자를 통해 IoT 시장을 지배하려는 시도가 있을 것이며, 미국 중심으로 전세계 각국 4차 산업 패권 경쟁 본격화가 예상됨(출처:하나증권).
6G에서도 일부 부품·소프트웨어 교체만으로 장비 사용이 가능한 6G Ready 장비 수요가 2025년부터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출처: 하나증권).
6G의 이론상 최고 속도는 1Tbps(초당 테라비트)로 기가비트로 환산하면 1000Gbps. 5G 최고 속도(20Gbps)와 비교하면 전송 속도가 약 50배 빠를 수 있는 정도.
정부는 차세대 네트워크로 꼽히는 6G의 주도권 확보를 지원하기 위해 2028년까지 6G 상용화·표준화 R&D에 총 4407억원을 투입한다는 계획. 2024년엔 6G 이동통신과 위성통신 분야 간 기술 협력을 추진하는 '6G 소사이어티'를 발족했으며, 제4차 전파진흥기본계획을 발표(2024.10.16). 세계전파통신회의(WRC-23)에서 채택된 후보 대역을 바탕으로 국내에 맞는 6G 주파수를 발굴 및 확보하고, 5G 주파수의 경우 추가공급을 검토한다는 계획.
한편, AI 활성화로 통신장비 투자가 활성화 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존재. AI와 VR 등의 기술은 큰 폭의 데이터 트래픽 증가를 유발. 이로인해 대량의 트래픽을 감당해줄 주파수 발굴이 진행되고 있는 추세. 신규 주파수 공급은 통신사들의 차세대 네트워크 투자로 이어져 통신장비 업체들에겐 긍정적(출처: 하나증권).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7.84%
세계 최초로 개발한 마이크로 벨로우즈 필터 장착된 스몰셀 장비 개발.
+7.20%
통신반도체를 설계하는 팹리스 업체. 통신반도체(XGSPON칩) 및 이를 광부품과 결합한 플러거블 제품, 광트랜시버 및 기가와이어 등을 생산.
+5.86%
국내 유일 통신용 단말기 RF FEM 제조사. RF FEM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최종 부품. 2020년부터 5G 단말기용 RF FEM양산.
+5.18%
기존 제품 대비 고효율을 발휘할 수 있는 전력 증폭기 GaN 트랜지스터 개발·생산해 삼성전자 등에 공급.
+4.98%
유무선 정보통신기기 개발 및 제조 업체. LTE와 5G 트래픽을 광선로로 다중화해 전달하는 통합형 전송 장비 및 Fronthaul 관련 장비, 인빌딩광분산장치(DAS)를 한국, 미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에 납품.
+4.57%
광섬유, 광케이블 제조업체. 광섬유 생산에 필요한 모재부터 광케이블까지 제품 생산을 위한 수직계열화 성공.
+3.83%
매크로셀 및 부품에 해당하는 통신장비 함체 등을 제조.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자 등.
+3.36%
광통신을 구성하는 핵심부품을 생산하는 업체. 주요 제품은 하나의 광케이블에서 나오는 광신호를 여러가닥의 광케이블로 분배하는 분배기(PLC)와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소자(PD).
+3.24%
모바일 안테나 기업인 스카이크로스를 인수하여 5G용 안테나 양산.
+3.14%
국내 무선통신(RF)필터 파운드리 전문기업. 국내에서 유일하게 6인치 TF-SAW(고성능 필터용 6인치) 파운드리 제조 설비와 양산 기술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6인치뿐만 아니라 4인치 RF필터 파운드리까지 모두 생산 가능.
+3.04%
기지국 및 중계기용 전력 증폭기와 불필요한 주파수 차단 필터, RRH(Remote Radio Head) 등을 공급.
+2.98%
스몰셀 개발 및 생산 시 성능 시험 및 주파수 조정을 위한 스몰셀용 계측기 생산.
+2.82%
유/무선 네트워크 장비 제조. 국내외 통신사업자에 DAS와 ICS 및 RF중계기를 주력으로 납품.
+2.62%
이동통신 솔루션 및 부가서비스 전문업체. 미래부가 진행하고 있는 5G 모바일코어 네트워크 기술 일환인 ‘네트워크기능가상화(NFV)’ 연구개발 신규과제 수행기업으로 선정.
+2.61%
인터넷 네트워크 구축 및 시스템 구축 업체. 주요 서비스로는 시스템 통합 서비스, 클라우드 및 데이터센터 구축 서비스, 통합보안 구축 서비스, 모바일/스마트 오피스 구축 서비스, 방송/미디어 시스템 구축 서비스 등. 백본망 구축 솔루션과 유지보수 서비스 제공. 5G 서비스를 기점으로 고객사향 네트워크 장비 매출 증가 예상.
+2.58%
AP 단말기, 광케이블 등의 정보통신장비를 생산해 국내 통신 3사(KT, SKB, LGU+)를 대상으로 유·무선 공유기를 제조하는 단말장비 제조업체.
+2.47%
KT의 협력업체로 평창 5G 통신 시범사업에서 와이파이AP 관련 일부 부품을 납품 경험 보유.
+2.32%
평창올림픽 KT 5G 시범서비스 백본망에 ROADM 장비 공급. 5G-PON/광단말장치(엑세스망) 장비의 핵심적인 원천 기술을 보유. 5G 이동통신망 구축에 대비한 ROF기술 습득을 위한 ETRI와 협력 체계 구축.
+2.20%
무선주파수(RF) 연결 솔루션 보유 기업. 5G 안테나, 방위산업용 안테나, 반도체 측정장비, 5G용 다중핀 커넥터 등을 개발 및 양산.
+2.04%
통신용 RF 패키지를 주로 생산해 모회사인 RFHIC(지분 38.51%)에 공급. 일본업체가 독점하고 있는 적층세라믹 기술, 히트씽크소재 기술을 개발·생산해 5G 외 다양한 분야에 진출할 계획도 있는 것으로 알려짐(2021.03.31 기준).
+2.03%
데이터센터 및 통신용 AWG(도파로 회절격자), PLC 스플리터, 계측기 등을 생산.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중국 SDGI사 등에 공급.
+1.79%
유무선 통신 서비스, 방송 사업자를 위한 위한 통합 운용지원시스템 개발 및 공급. 5G 관련 신규 수요 및 데이터 트래픽이 증가할 경우 동사가 보유한통합운영지원솔루션(OSS) 수요 증가 기대.
+1.73%
송수신안테나 및 광·동축혼합(HFC)망 전송기기 제조 및 판매.
+1.67%
이동통신사들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축하는 가입자 망에 사용되는 스위치, FTTH 등 생산. 5G 서비스 유선 인프라 장비인 백홀·프론트홀 장비도 개발·제조.
+1.66%
5G 이동통신의 핵심부품인 광트랜시버와 광다중화장치 개발·생산. SK텔레콤 등 국내외 통신사업자들에 공급.
+1.63%
5G 구축 시 traffic 분산을 위한 초소형 기지국 스몰셀 확대 전망, LGU+ 스몰셀 공급 중.
+1.34%
공용무선기지국(중계망) 전문업체. LGU+ 수도권 지하철(1-8호선) 5G공사 수주. 케이티와 지하철 5G 무선망 공사 계약을 체결.
+1.07%
전기 신화와 공 신호를 서로 바꿔주는 매개체인 광트랜시버 생산.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자, 노키아 등.
+0.93%
통신서비스 핵심망, 사물인터넷(IoT) .부가 서비스 솔루션을 공급하는 소프트웨어 전문 개발 기업. 통신 코어 솔루션(지능망, 실시간 과금, 메시징, 메시지 라우팅 솔루션 등)을 5G 환경에 적합한 가상화 구조로 고도화하는 작업 진행.
+0.82%
이동통신 중계기사업 영위. KT와의 기술 협력을 통해 2016년 세계최초로 ‘5G 중계기’의 시연에 성공.
+0.81%
RF통신부품(RF케이블 조립체, RF커넥터) 제조업체. 국내 1위 모바일 RF커넥티비티 공급사. 국내 유일 4.5G, 5G 네트워크인프라 대응(6GHz+) RF 역량 보유.
+0.75%
시험 인증 및 교정 전무 업체. 5G 스마트폰 시험 인증, 5G 기지국 장비 모델 인증 적합성 평가 시험 기관으로 지정됨.
+0.67%
광케이블 구축에 필수적인 장비인 광섬유 융착접속기·절단기, 5G 스펙트럼 애널라이저(SA) 등 제조.
+0.57%
Core Network에 해당되는 음성핵심망과 무선 데이터 솔루션을 공급하는 업체로 통신 단말기 관리 소프트웨어를 주요 통신사에 공급
+0.39%
모바일 데이터를 유선망으로 연결하는 모바일 백홀을 생산.
+0.19%
모바일과 스마트홈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슈머 사업과 기업인프라 사업을 영위. 한국 서비스를 개시(2021.11.12)하는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디즈니플러스와 독점 제휴.
0.00%
RF부품과 5G 기지국용 안테나 등의 통신기기 생산·판매. 주 고객사는 삼성전자, 에릭슨 등.
-0.16%
통신 장비 전문 업체로 접속망 및 백본망에 들어가는 광전송장비, 게이트웨이 등을 생산.
KT
-0.21%
국내 대표적인 통신 사업자. 무선통신, 초고속인터넷, 기업회선 등 개인과 기업고객 대상 유무선 통신서비스와 IPTV 등 유료방송 서비스, IDC, 클라우드, AI/DX 등과 같은 플랫폼 기반의 B2B 사업을 영위. 5G 표준 규격 개발을 위해 국제 표준화 단체에 적극 참여해 세계최초 5G 공통 규격인 평창 5G 규격을 완성.
-0.71%
이동전화, 무선데이터, 정보통신사업 등의 무선통신사업과 전화, 초고속인터넷, 데이터 및 통신망 임대서비스 등의 유선통신사업, 상품판매형 데이터방송채널사용사업 등을 영위.
-1.85%
5G 포함 무선통신 장비용 부품 공급. RF 신호를 분기·혼합해주는 MLC와 검사용 RF 신호를 추출해주는 MCP 등을 공급.
-3.07%
통신디바이스(AI스피커, 모바일라우터, 웨어러블 등)를 주력으로 생산. 세계 최초 WiMAX 모바일 라우터 개발.
5G·6G 테마 차트
  • 3개월 등락률
    +0.81%
  • 1개월 등락률
    -6.02%
  • 1주 등락률
    +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