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건자재 - 가구 테마, 진영 +20.74%, 지누스 +5.81%
증권플러스 | 2025.04.08 오후 03:35
[뉴스봇] 건자재 - 가구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3.4% 상승세이다. 진영 +20.74%, 지누스 +5.81%, 에넥스 +4.59%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대형화 및 고급화 추세..브랜드 중심으로 재편
✔ 주택거래량, 아파트 분양 시장에 따라 영향
✔ 트럼프 목재도 관세 예고..국내 가구업계 직접적 피해는 미미할 듯
국내 가구산업은 크게 가정용 가구(부엌용 가구 포함), 사무용 가구, 침대·소파·차량 의자 등의 메트리스 가구 등으로 분류.
가구 산업은 소수의 중대형 기업 중심인 브랜드 시장과 소규모 기업 및 영세사업자로 구성된 비브랜드 시장으로 분류. 진입장벽이 낮은 산업 특성상 수많은 중소업체가 있으며, 타산업에 비해 비 브랜드 업체가 많은 편.
일반적으로 가구 시장에서 브랜드 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30%로 추정되고 있으며, 가구 시장은 대형화 및 고급화로 브랜드 업체 시장점유율이 상승하는 추세. 가구산업은 내구재로 주택건설 경기, 주택 거래량, 아파트 분양 등에 영향.
가구의 원재료는 PB(Particle Board), MDF(Medium Density Fiber) 등 목재류와 크롬도금강판, 냉간압연강판 등 철강류, 플라스틱, 알루미늄 등이 있음. 통상적으로 국내외 협력업체들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원재료를 공급받고 있으나, 목재 등 원재료 가격이 급등할 경우 대형 업체들은 제품가 인상에 나서는 편. 반면 가격 협상력이 비교적 약하고 공공조달 비중이 큰 중소 업체는 조달 가격을 올리기 쉽지 않음.
가구 업체들은 주택거래량 연동성을 낮추기 위해 B2C 리모델링 시장에 주목. 과거 주택경기 침체 시 리모델링 시장이 주택거래 대체제로 부상한 바가 있기 때문.또한 상대적으로 마진이 높은 부엌/욕실/수납 등의 단품 판매촉진을 강화(출처: 신한금융투자).
가구 업계도 미국발 관세 영향권에 포함. 트럼프는 목재 수입품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라는 행정 명령을 내림(2025.03.02). 원목뿐 아니라, 미국 원목으로 만든 한국산 싱크대도 조사 대상에 포함.
그러나 국내 가구업계의 미국향 가구 수출품목은 싱크대 등 주방용 가구가 아닌 바닥재 및 가구용 보드, 인조대리석 등에 집중돼 있음. 또한 목재 수입국도 대부분 미국이 아닌 동남아시아 국가들로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 단, 관세부과로 인한 목재 가격 등락과 관세부과 대상품목 확대 등은 예의주시.
-
3개월 등락률
+1.13% -
1개월 등락률
+4.14% -
1주 등락률
+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