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2차전지 부품 테마, 대진첨단소재 +6.80%, 신성에스티 +3.88%

증권플러스 | 2025.04.08 오전 09:14

[뉴스봇] 2차전지 부품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26% 상승세이다. 대진첨단소재 +6.80%, 신성에스티 +3.88%, 메가터치 +3.63%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2차전지 부품사, 배터리 모듈·팩 등 생산 ✔ 국내 배터리 생산업체의 증설·생산량 증가 등에 영향 ✔ '25년 전기차 판매 전년비 횡보 또는 감소 전망..중장기 성장은 기대
2차전지는 배터리의 한 종류로 한 번 쓰고 버리는 것이 아니라, 충전을 통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전지를 의미. 이에 따라 내구성과 안전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소재·부품에 대한 중요성 부각. 전기차 핵심부품은 에너지를 담는 2차전지인 리튬이온전지.
2차전지 부품은 대표적으로 배터리 모듈, 팩 등이 있음.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셀을 외부충격과 열, 진동 등으로 보호하기 위해 일정한 개수로 묶어 프레임에 넣은 배터리 조립체.
배터리 팩은 전기차에 장착되는 배터리 시스템의 최종 형태로 다수의 배터리 모둘과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장품. 내부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기구 부품이 조립된 제품으로 전기자동차의 모터에 동력원인 전기에너지를 보유하고 공급.
이외에도 배터리를 생산하기 위한 소모품, 배터리 장비 부품 등을 생산.
국내 2차전지 부품 업체들은 주로 배터리 생산업체(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완성차 제작업체(현대차, 기아 등) 등에 공급하며, 배터리 생산 업체들의 생산 공장 증설, 생산량 증가, 2차전지 전방산업인 전기차(EV) 시장 등에 영향을 받음.
2025년에도 중국을 제외한 주요국들의 친환경차 판매 대수는 횡보 또는 감소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2025년 전기차 판매대수는 1879만대 추정. 전년 동기 대비 361만대 증가할 것으로 예상(출처:상상인증권). 2차전지 시장은 2025년까지는 반등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반(反)친환경 정책도 영향. 트럼프는 취임하자마자 바이든 행정부가 2030년까지 신차 판매의 50%를 전기차로 전환하기로 한 행정명령 폐기를 공식화. 또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상의 전기차 보조금을 "미친 전기차 의무 규정"이라고 주장.
한편, 세계 완성차 기업들은 전동화 전략을 경쟁적으로 발표하면서 2030년을 분기점으로 꼽고 있는 추세. 2025년 엔트리, 볼륨 등급의 전기차 본격 출시됨에 따라 성장세를 회복해 2030년까지 전기차 침투율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 완성차 업체별 2030년 전기차 생산 계획은 현대차그룹 364만대, 도요타그룹 350만대, BYD 300만대, 포드 300만대, 혼다 200만대 등. 전기차 조사업체 EV볼륨스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차는 2023년 1450만대에서 2030년 2억3000만대로 늘어날 것 예상(출처: 교보증권).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6.80%
배터리 제조공정 중 활성화 공정내 필요한 대전방지 트레이, 스태킹 공정내 분리막의 이물관리와 대전방지기능이 부여된 PET 이형필름, CNT의 개질분산 기술을 활용해 영구적인 대전방지 기능을 구현한 대전방지 코팅액 등을 주력 제품으로 생산.
+3.88%
전기자동차, ESS용 배터리부품 전문 업체. 주력제품은 배터리의 전기적 에너지의 상호 연결을 담당하는 부스바(Busbar)와 배터리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배터리 모듈 케이스 등.
+3.63%
2차전지, 반도체 검사용 장비 부품 제조. 주요 제품은 배터리 충방전용 테스트 핀 등.
+3.50%
원형 및 각형 2차 전지의 전류차단장치, 뚜껑 역할의 Cap Ass’y 등을 생산. 주요 고객사는 삼성SDI, 상아프론테크, 상신이디피 등.
+3.16%
전기차용 배터리셀 패드와 내화격벽을 공급. 주요 고객사는 현대모비스, H그린파워, SK On의 계열사인 SKBA(SK Battery America) 등.
+2.99%
차량용 축전지 생산. 주요 브랜드는 ‘로케트(ROCKET)’ 등. 자회사 세방배터리를 동해 리튬이온 2차전지를 기반 배터리 모듈과 팩을 생산하여 현대차그룹 등에 공급.
+2.97%
전기차·ESS(에너지 저장장치)에 사용되는 중대형 전지, 모바일기기·EV 등에 탑재되는 소형 리튬이온 전지 등을 생산·판매. 주요 고객사는 LG엔솔, 르노삼성.
+2.78%
2차전지 정밀금형 및 정밀기계부품, 자동화장비 제작전문 업체. 이차전지 제조에 필요한 정밀금형 및 정밀기계부품, 자동화장비를 제작해 공급하며, 이차전지 소재인 리드탭을 생산.
+2.78%
2차전지 부품 및 자동차 전장 부품을 생산 및 판매하는 업체. 2차전지 부품 주력 제품은 2차전지의 화재 위험을 낮추는 부품인 ‘탑캡 어셈블리’(Topcap Ass’y). 전장 부품은 EV-Relay 및 Motor Housing 제품을 생산.
+2.57%
리튬이온 방식의 2차전지 중 전동공구 등에 사용되는 원형 CAN,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EV CAN, 대용량 저장장치 ESS 등 2차전지에 사용되는 부품 등을 생산.
+2.56%
양극보호·절연용 등에 사용하는 2차전지 테이프 생산. 국내 배터리 3사(LG엔솔·삼성SDI·SK온)에 납품.
+2.56%
테슬라, 리비안, GM 등에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 하는 고효율 자성 부품 공급. 이차 전지에 유연성을 부여한 Flexible Battery도 개발.
+2.27%
2차전지 보호회로 전문업체. 보호회로의 핵심부품인 보호소자와 스위칭소자를 하나의 Chip으로 패키징 한 제품(POC)을 개발. 2세대 제품인 PMP는 2차전지 보호회로를 반도체화한 제품으로, 스마트폰 및 소형 IT기기에 사용.
+2.01%
전기차 배터리 케이스(BPC), 80kWh급 알루미늄 배터리팩 등을 개발·생산해 현대차그룹 등에 공급.
+1.94%
2차전지 전극공정 핵심 부품인 슬롯다이 등을 생산해 SK온, LG에너지솔루션, 피엔티, 노스볼트 등에 공급. 슬롯다이는 롤투롤 장비에 들어가는 부품으로 코팅 공정에서 전극 면접, 두께, 패턴을 결정하고 주기적으로 교체 필요.
+1.93%
다양한 산업에 적용되는 정밀 기계·부품 생산. 2차전지 장비 핵심 부품(롤러, MSO코일 등)과 가공용 컴팩트 머시닝 센터 등도 생산·공급.
+1.80%
2차전지 양극재, 음극재 열처리 소성로 장비(RHK, PK) 등을 생산. 포스코케미칼, LG엔솔, 에코프로비엠 등에 공급.
+1.79%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이용해 배터리 전해액 누수방지 부품을 만들어 삼성SDI에 공급 중.
+1.75%
자회사 CK이엠솔루션(지분율 77.5%)을 통해 배터리 방열 소재인 방열접착소재(TIM) 솔루션 개발.
+1.69%
전기차 배터리 내 열관리 소재 생산·공급. 주요 제품은 방열소재인 ‘갭 필러’, ‘갭 패드’ 등. 현대차, 기아, GM, BMW 등에 공급이력 보유.
+1.28%
전기차 배터리 부품 개발·생산. 주요 제품은 전기차의 배터리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엔드플레이트 등. LG에너지솔루션 등 배터리 제조사와 폭스바겐 등 완성차 업체에 공급.
+1.26%
2차전지 제조 공정 중 극판·조립공정에서 사용되는 장비에 사용되는 부품 등을 생산. 주요 부품은 KNIFE UNIT, KNIFE SPACER, PX-SHAFT 등이며, 주로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등에 공급.
+1.05%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전문회사로, 자동차 부품 및 합금이 주력 제품. LG전자에는 전기차 배터리 모터하우징, LG엔솔에는 전기차 엔드플레이트를 공급.
+0.99%
알루미늄 가공업체로 주요제품은 통신장비함체·모바일케이스. 자회사 텍슨(지분율 100%)을 통해 반도체·이차전지 알루미늄 소재 개발·생산(2023.06.30 기준).
+0.72%
2차전지 제작시 사용되는 Gasket, ESS Case 등을 생산 판매.
-1.90%
반도체와 2차전지 제조 장비와 같은 초정밀 기기(장비, 소재)의 표면이나 곡면을 다듬는 데 쓰이는 특화된 비드를 전문 생산하는 업체. 2차전지·ESS 배터리 소재 분쇄 가공을 위한 초소형 세라믹비드를 공급.
2차전지 부품 테마 차트
  • 3개월 등락률
    -6.93%
  • 1개월 등락률
    -9.07%
  • 1주 등락률
    -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