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건강기능식품 테마, 에이치피오 +14.17%, 노바렉스 +7.23%

증권플러스 | 2025.04.01 오후 01:59

[뉴스봇] 건강기능식품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3% 상승세이다. 에이치피오 +14.17%, 노바렉스 +7.23%, HK이노엔 +6.47%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코로나19 이후로 면역력 증진 관심..수출액 매년 증가 ✔ 인구 고령화 속 다이어트·피부건강 건기식 수요 증가 ✔ '25년 개인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제도 시행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에서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나 인체에 유용한 기능을 가진 성분(기능성원료)을 가공·제조한 식품. 식품위생법상의 일반식품과는 달리 동물시험, 인체적용시험 등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한 기능성 원료만을 인정. 의약품과는 질병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거나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구분.
건강기능식품 주요 업체는 크게 제조업체와 판매업체(브랜드)로 구분. 제조업체 생산 후에 주요 도매유통 채널(판매업체, 대리점, 총판 등)을 통해 소매채널로 이동.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고령 인구 증가, 개인 건강에 대한 관심 확산 등으로 면역력을 향상시켜주는 제품을 중심으로 양호한 성장 중. 최근 바쁜 일상 속에서 건강 관리가 쉽지 않고,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 증대, 피부건강에 도움을 주는 제품들의 수요가 20~30대 젊은 층을 중심으로 수요가 늘고 있음.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면역력 증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2020년 이후부터 국내 건강기능식품 수출도 매년 증가. 2024년 수출액은 9억147만 달러로 사상 최대치 기록. 전년 대비해서는 6.3% 증가한 수치.
금액 기준으로 가장 많이 판매된 기능성 원료는 홍삼, 비타민, 프로바이오틱스, PA·DHA 함유 유지(오메가-3), 밀크시슬 추출물 등 순(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에 따르면 국내 건기식시장 규모는 2023년 6조2022억원이며, 2030년에는 인구 고령화 등으로 25조원 규모까지 커질 것으로 추산. 또한 한국 수출액에서 건기식이 차지하는 비중이 현재 0.14% 수준이지만 2035년 1.5%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
올해부터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제도'가 본격 시행. 개인 생활 습관이나 건강 상태에 따라 전문가 상담을 통해 다양한 건강기능식품을 소분·조합해 판매할 수 있는 제도.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14.17%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업체로, 프리미엄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인 ‘덴마크유산균이야기’ 등을 주력으로 판매.
+7.23%
국내 건강기능식품 ODM·OEM 업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기능성을 인정한 건강기능식품 원료인 ‘개별인정원료’를 36개 보유해 일정 기간 독점 판매권을 행사할 수 있음.
+6.47%
전문의약품·HB&B(건강음료·건강기능식품) 사업 운영. 건강기능식품 사업의 주요 브랜드는 ‘뉴틴’으로 피로·면역·스트레스 관리, 비타민D 등의 제품 판매.
+3.99%
유산균과 건강기능식품 생산. 주요 제품은 프리미엄 유산균 브랜드 ‘트루락’과 다이어트 제품 ‘시서스 스피드 다이어트’ 등. 홈쇼핑, 온라인, 대형마트, 면세점 등에서 판매.
+3.71%
건강기능식품 소재 기업으로, 한국·중국 기업과 거래 중.
+3.46%
국내 약국으로 유통하는 건강식품, 화장품, 일반의약품 제조 및 도소매업 영위. 대표 건강식품 제품으로는 알티지오메가3, 코랄플러스, 쿼노아멀티비타민 등.
+3.15%
자회사 종근당건강(지분율 51%)이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인 락토핏을 판매. 종근당건강은 그 외에 비타민제제, 홍삼식품, 더마코스메틱 등 건강보조식품과 함께 화장품도 판매(2023.06.30 기준).
+2.72%
‘비타500’ 등 건강기능식품 중심의 제약사.
+2.43%
코스맥스비티아이가 지분율 38.17% 보유한 업체로, 건강기능식품 ODM·OEM(주문자 개발생산·주문자상표부착생산) 사업 영위. 프로바이오틱스(유산균)와 먹는 콜라겐이 주력 제품군(2023.06.30 기준).
+2.17%
건강기능식품 및 원료 제조사. 완제품과 제품 원료를 해외 27개국에 수출.
+2.00%
펩타이드와 성장인자 단백질(Growth Factor)에 대한 연구 개발을 기반으로 건강기능식품을 개발. 주요 제품으로는 혈당조절 건기식 ‘ProGsterol’. 근육증가 건강기능식품 ‘마이오키’는 미국 FDA에 신규 건강기능제품원료(NDI) 승인받아(2025.02.06).
+1.90%
건강기능식품 원료·완제품 제조사로 R&D·상품기획·제조·유통까지 밸류체인 구축. 주요제품은 ‘닥터슈퍼칸’, ‘스피루니나류’ 등.
+1.84%
태반주사제, 비타민 주사제 등 전문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사. 태반주사제 라이넥주 국내 시장점유율 1위.
+1.67%
건강식품 브랜드 업체로, 피부건강 및 다이어트 식품브랜드 주력. 저분자콜라겐펩타이드(피부 관련), 핑거루트 추출분말(체지방 감소) 등의 개별인정형 원료 보유.
+1.63%
제약회사로 전문의약품·웰빙의약품·의료기기(필러·더마샤인 등)을 판매. 홍삼 소재 건강기능식품을 주력으로 생산하는 휴온스푸디언스 자회사(지분율 68.05%)로 보유.
+1.49%
연질갭슐 원천기술 기반 의약품·건강기능식품 OEM·ODM 사업 영위. 대표 건기식 제품은 종근당 건강의 프로메가 오메가3 시리즈, 루테인 미니, 헬스밸런스의 시네트롤 등.
+1.19%
자회사 KGC인삼공사를 통해 홍삼 건강식품 ‘정관장’ 제조·판매.
+0.90%
일동제약의 의약품 사업부문이 인적분할된 기업. 아로나민류, 비오비타 등 건강보조식품 판매.
+0.62%
건기식 브랜드 ‘라이필’ 출시. 주요 품목은 콜라겐, 프로바이오틱스, 오메가3 등.
+0.32%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제품 ‘듀오락’ 생산업체.
+0.15%
수면 개선(미강주정추출물, 감태추출물), 위 기능 개선(인진쑥녹차추출물) 개별인정 원료식품 등의 건강기능식품 소재 개발·생산. 삼양식품, 농심, CJ제일제당, 풀무원, KGC인삼공사 등 등 144개사에 220여종의 일반·건강기능식품 소재 공급.
0.00%
애플트리김약사네, 악마다이어트, 비타민스토리 등 12개의 유명 자체브랜드와 150개 이상의 건강기능식품을 개발·판매.
-0.14%
제약사 및 식품사의 OEM/ODM 제조사. 의약품용 캡슐, 건강기능식품용 캡슐·젤라틴 생산.
-0.76%
보스웰리아 추출물, 매스틱 검 등의 개별인정형 원료를 바탕으로 건강기능식품 생산·판매. 주요 제품은 관절연골엔 보스웰리아, 위건강엔 매스틱 등.
-4.71%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당(고순도/유기농 갈락토올리고당), 기능성 펩타이드 등 영유아식, 건강기능식품 등을 제조.
건강기능식품 테마 차트
  • 3개월 등락률
    +4.00%
  • 1개월 등락률
    +0.33%
  • 1주 등락률
    -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