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중소형 건설사 테마, 동신건설 +26.81%, 일성건설 +25.89%

증권플러스 | 2025.04.01 오전 10:59

[뉴스봇] 중소형 건설사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3.26% 상승세이다. 동신건설 +26.81%, 일성건설 +25.89%, 이화공영 +22.21%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국내 주택시장 상황에 따라 실적 변동 ✔ '25년 국내 건설수주 전년대비 2.2% 증가 전망 ✔ '25년 SOC 예산 전년대비 3.6%↓..항공·공항 부문↑
중소형 건설사는 2024년 시공능력평가 기준으로 상위 20위 이하.
건설업은 생산과 고용, 부가가치 창출 측면에서 경제유발 효과가 큼. 또한 국내 경기와 정부의 부동산 가격 및 관련 법규나 정부규제 등의 요인에 영향을 받음.
또한 국내 경기와 정부의 부동산 가격 및 관련 법규나 정부규제 등의 요인에 영향을 받음. 특히 국내 중소형 건설사는 해외건설 부문 등으로 사업이 다각화된 대형 건설사와 달리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국내 주택 시장에 큰 영향을 받음.
건설업의 주 원재료는 철근, 시멘트, 목재 등으로 국재 원자재 가격 및 환율변동에 영향.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도 높아 노임상승에 따른 우수시공인력 확보에 제약도 있음.
중소형건설사는 대형 건설사가 참여하기 쉽지 않은 소규모 단지의 아파트, 가로주택정비사업 등 시장을 공략. 대형건설사는 수익성 때문에 해당 사업을 추진하기 어려움.
공사비 증가, 고금리 등으로 건설산업 수익성이 전반적으로 저하된 가운데 2025년 또한 호전되기 기대하기 힘들 것으로 예상.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주택공급 물량 부족이 심화되고, 정치 경제적 불확실성 증대와 변동성 확대에 따라 부동산시장의 불안전성은 다른 해보다 커질 것으로 내다봄.
2025년 국내 건설 수주는 전년대비 2.2% 증가한 21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 이는 금리인하, 주택 정비사업 활성화, 3기 신도시 개발 등의 요인이 긍정적으로 작용(출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반면, 건설투자는 전년 대비 2.1% 감소한 295조원으로 예상. 이는 2022년과 2023년의 건축 착공 감소 영향으로 풀이.
정부는 '25년까지 총 8만가구 규모의 수도권 신규택지 후보지를 발굴하겠다고 발표(2024.08.08). 11월에 5만가구 규모의 후보지를 우선 공개하는 가운데, 1만가구 이상을 서울 그린벨트를 풀어 공급한다는 계획. 또 아파트 공급 확대를 위해 조합 설립 요건 완화·인허가 단계 간소화 등 재건축 정비사업 속도를 지원하기 위한 도시정비법도 개정 진행.
한편, SOC 사업 활성화에 따른 국내 도로공사, 산업단지조성, 항만공사 등의 토목 수주 증가는 대형 건설사 대비 중소형 건설사에 긍정적. 대부분 토목 공사는 분할 발주가 이루어지는 만큼 주간사 역할을 하는 대형 건설사보다 중소형 건설사의 기회가 더 많기 때문.
2025년 정부의 SOC 예산은 전년대비 3.6% 줄어든 25.5조원. 철도, 도로 등 부분 예산이 크게 감소. 그외 항만, 항공 등 분야는 증가. 특히 가덕도공항 사업은 5363억원에서 9640억원으로 크게 증가.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26.81%
토목사업, 건축사업, 문화재공사 등을 영위하는 중견 건설업체. 제2외곽순환(인천~김포간)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으로 청라국제도시 통과구간 지하화 건설공사 이력 보유.
+25.89%
토목공사, 건축공사, 조경공사 및 아파트분양사업 등을 영위하는 중견 건설업체.
+22.21%
토목 및 건축사업을 영위하는 중소형 건설사.
+5.19%
중소형 건설업체로 건축공사, 토목공사, F.E.D(미국육군 극동공병단)공사, 임대사업 등을 영위.
+4.66%
효성그룹 계열의 중소형 건설업체로 국내 도급공사 전문.
+4.07%
토목, 건축, 플랜트 공사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3.91%
태영그룹 계열의 중견 건설업체. 토목환경건설, 건축주택건설, 플랜트건설, 해외건설사업, 임대업 등을 영위. ‘데시앙’ 등의 브랜드 보유.
+3.69%
도로·공항, 철도·구조, 도시계획, 국토개발 등의 사업을 영위하는 건설사. 밀양 나노융합 국가산업단지, 부산 기장 기업형 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 조사설계용역 등의 수주 이력 보유.
+3.28%
한신 브랜드의 중견 건설업체. 건축과 토목 및 국내외 종합건설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휴플러스’ 아파트 브랜드 보유.
+3.23%
철도·도로공사, 지하철공사, 특수공법공사, 주택건설 등의 토건사업(토목 및 건축공사 등) 전문 건설업체. 보령-태안(해저터널1공구) 도로건설공사 수주 이력 보유.
+2.60%
건축, 토목, 플랜트, 철구, 해외사업 등을 영위하는 중견 건설업체.
+2.15%
철도·도로 지하횡단구조물 비개착시공, 쉴드터널 시공 등 사업 영위. 서초전력구, 한강하저터널 등 시공한 바 있음.
+2.05%
토목, 건축공사업 및 주택 공급업을 영위하는 주택사업 중심의 부산·경남 지역 중견 건설업체. ‘비스타동원’, ‘동원로얄듀크’ 브랜드 보유.
+1.74%
일반건축물의 건설 및 토목공사 등의 종합건설업, 부동산임대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중소형 건설업체.
+1.52%
주택분양 및 공공/민간 도급공사 등의 중견 건설업체. 아파트, 주상복합 위주의 주택건설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아파트 브랜드 ‘칸타빌(Cantavil)’ 보유.
+1.24%
지하철이나 해저터널 등의 지하공간 개발과 지반개량(DCM), 일반토목 등 사업 운영.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연결철도 쉴드터널공사, 부산신항 신규준설토투기장 해상DCM 등 프로젝트 이력 보유.
+0.68%
한라그룹 계열의 중견 건설업체. 토목공사, 업무용/상업용 공공건물 등의 건축공사, 주택건설공사 등을 영위.
+0.68%
광주와 전남지역에 기반을 둔 토목공사와 건축공사, 조경, 전기공사 등을 수주하는 중견 건설업체.
+0.56%
OCI그룹 계열의 플랜트사업, 토건사업(토목 및 건축공사 등)을 영위하는 중견 건설업체.
+0.51%
KCC 계열사로 토목공사, 건축공사, 분양공사 등을 영위하는 중견 건설업체.
+0.49%
요업ㆍ콘크리트제품 제조 및 판매업, 비데 제조 및 판매업, 건축 및 주택건설사업, 토목건축공사업등을 영위하는 중견 건설업체.
+0.44%
토목공사, 플랜트공사, 건물 및 아파트(‘센트레빌’ 브랜드 보유) 신축공사 등의 건설업을 영위하는 중견 건설업체.
+0.26%
대구, 경북 지역의 중견 건설업체. 건축공사업, 토목, 주택건설, 부동산 임대사업 등을 영위.
+0.21%
대구·경북·경남 지역 기반의 중견 건설업체. 건축사업 및 토목사업, 아파트사업 등을 영위.
+0.10%
삼성그룹에 속한 계열회사로서 플랜트 건설 및 산업 생산설비 및 인프라 설비 등을 주사업으로 영위.
0.00%
GS건설 계열 주택개발사업 업체. 첨단공장, 인터넷데이터센터(IDC), 연구시설 및 오피스, 화공플랜트 등을 시공하는 건축사업부문과 중·소규모 자체개발사업, 외주시공, 소규모재건축, 가로주택정비사업 등 주택개발사업부문 영위.
0.00%
국내 도급공사 및 자체공사 분양사업, 토목사업 등을 영위하는 중견 건설업체. 고속국도 제 25호선 강진~광주간 건설공사, 파키스탄 로와리터널 남측 터널 진입도로 등의 공사 이력 보유.
0.00%
관급공사 중심의 중소형 건설업체.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등에서 발주하는 건축공사, 토목공사, 대안공사, SOC 공사 및 BTL공사 등의 건설업 영위.
-0.25%
HDC 그룹 개열사로, 스마트홈, 스마트빌딩(IBS), SOC 등 사업 영위. SOC 사업은 민자고속도로인 신대구부산고속도, 부산-김해경전철 E&M 등 대형 프로젝트 수행한 바 있음.
-0.83%
토목공사사업을 영위하는 중견 건설업체. 고속도로 및 국도 등의 도로공사, 지하철공사, 항만시설공사, 간척지공사, 택지 및 산업단지조성공사 등의 토목공사 영위.
-0.93%
아파트, 오피스텔 건설 등을 영위. ‘해링턴’ 등의 브랜드 보유.
-1.31%
건축, 주택, 토목 분야의 설계, 시공, 공사관리의 종합서비스 업무를 수행하는 중소형 건설업체.
-7.35%
건설업(고급빌라, 사무용빌딩 등), 전기 및 기계설비 공사업, 홈네트워크 사업, 정보통신망구축사업 등을 영위하는 중소형 건설업체. 상지리츠빌과 상지카일룸 고급빌라 브랜드 보유.
중소형 건설사 테마 차트
  • 3개월 등락률
    -4.60%
  • 1개월 등락률
    -4.89%
  • 1주 등락률
    +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