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인공지능(AI) 테마, 크라우드웍스 +10.00%, 심플랫폼 +8.35%

증권플러스 | 2025.04.01 오전 09:13

[뉴스봇] 인공지능(AI)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28% 상승세이다. 크라우드웍스 +10.00%, 심플랫폼 +8.35%, 토마토시스템 +5.29%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자율주행·로봇 등 다양한 분야서 도입 ✔ 챗GPT가 촉발시킨 생성형AI..미-중 패권전쟁 돌입 ✔ 인공지능 시장, '32까지 연평균 29% 성장 전망
인공지능(AI)은 컴퓨팅 환경에 내장된 알고리즘을 생성하고 적용하여 인간의 지능을 모방하는 기초 지능. 쉽게 말해, AI는 인간처럼 사고하고 행동하는 컴퓨터.
챗GPT의 등장으로 이용자의 특정 요구에 따라 결과를 능동적으로 생성해내는 인공지능 기술인 '생성형AI'가 주목받기 시작.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는 2022년 11월 말 챗GPT 3.5 시리즈 모델을 공개. 이어 2023년 3월 업그레이드 버전인 '챗GPT 4'를 출시. 2024년 5월에는 주로 텍스트를 통해 대화할 수 있었던 기존 모델과 달리 텍스트뿐 아니라 청각, 시각을 이용해 추론하고 음성을 통해 마치 사람과 대화하듯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GPT-4o'(GPT-포오)를 공개했으며, 2024년 9월 과학과 수학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 가능한 'o1' 공개. 12월에는 'o1'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o3'을 내놓기도.
구글도 AI서비스 2023년 12월 제미나이를 출시 이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2024년 12월 더 복잡한 쿼리(Query) 처리가 가능한 제미나이 2.0을 공개.
2025년 1월 20일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저비용, 저사양 칩으로 복잡한 추론 문제에 특화한 AI 모델 R1을 공개하면서 AI 분야에서도 미국과 중국이 패권 전쟁에 돌입. 딥시크가 밝힌 개발비는 557만6000달러로 오픈AI GPT4 개발비의 5.6% 수준. 일각에서는 기술력을 과대 포장했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딥시크 공개 직후 오픈AI 등 미국 기업들은 딥시크가 자사의 데이터를 무단 사용했는지 조사에 착수했으며, 미 정부는 저사양 AI칩에 대해서도 대중 수출을 금지하는 방안을 검토 중.
국내 네이버·카카오 등은 딥시크를 계기로 AI 서비스 확대에 더 박차를 가할 것으로 전망. 네이버와 카카오는 2023~2024년 상반기까지 자체 모델 개발에 집중했으나 현재는 필요에 따라 외부 모델을 병행하는 전략으로 수정. 고성능 AI 모델이 낮은 가격으로 제공되는 현 추세와 외부 AI 모델을 효율적으로 서비스화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는 점은 국내 업체들에겐 긍정적(출처: 하나증권).
네이버는 자체 개발 AI 모델 '하이퍼클로바X'를 2023년 8월 공개. 이를 기반으로 AI 서비스를 제공 중. 올해 'AI 브리핑'과 '큐:(Cue:) 모바일' 등을 선보일 예정. 카카오는 올해 1분기 대화형 AI 서비스 '카나나'를 선보일 계획. 특히 카카오는 오픈AI와 AI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기술 협력, 양사 공동 상품 개발을 추진하겠다고 발표(2025.02.04). 카카오는 우선 카카오톡, 카나나 등에 오픈AI의 최신 AI 기술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스페이스)를 활용한다는 계획.
한편, 전 세계 인공지능(AI) 시장 규모는 2025년 2941억6000만달러에서 2032년까지 1조7716억달러로 연평균 29.2% 성장 전망(출처: Fortune Business Insights).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10.00%
인공지능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 솔루션 용역 제공 업체.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인공지능 데이터 구축 서비스 (Crowdworks Online Services), 인공지능 데이터 구축 프로젝트 운영을 위한 솔루션 (Workstage), 데이터 구축 인력 매칭 서비스(Crowdjobs), 데이터 라벨러 육성을 위한 교육서비스(Crowd Academy) 사업 등을 영위.
+8.35%
산업용 AIoT 플랫폼인 ‘NUBISON AIoT’를 운영. 산업 특화 AI 모델 개발 툴 서비스, AI 재배포 운영 서비스 등도 제공.
+5.29%
자연어 의미분석 엔진 ‘스프링토피커’를 기반으로 소규모 사업자를 위한 구독형 AI 챗봇 서비스 ‘에이아이큐앤에이(AIQ&A)’ 출시.
+4.06%
고해상도 인공지능(AI) 영상분석 기업으로, 보안·교통 등 분야에 솔루션 제공. 주요 제품은 AVAX(배경모델링 기반 영상분석 솔루션), PREVAX (딥러닝 적용 영상분석 솔루션) 등.
+3.90%
언어 데이터 전문 기업으로 웹과 앱 플랫폼을 통해 집단지성 번역, AI 번역, 전문 번역 등의 서비스를 제공. 플랫폼을 통해 수집된 언어 데이터를 검수·정제 후 판매하거나, 다국어 번역 데이터 구축 서비스 사업 등을 영위.
+3.74%
대용량 영상 데이터 솔루션, 플랫폼 기반 AI(인공지능) 영상분석 서비스 등 제공. 글로벌 GPU(그래픽저장장치) 업체 엔비디아(NVIDIA)의 소프트웨어 파트너사.
+3.20%
카카오톡과 유사한 메신저 형태의 이용자 경험(UX)을 기반으로 개인 비서처럼 사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서비스인 ‘카나나’를 공개. 오픈AI와도 AI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기술 협력 및 양사 공동 상품 개발을 추진.
+3.02%
생성형 AI를 활용해 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는 AI 데이터 분석 플랫폼 ‘G-MATRIX’를 판매.
+2.84%
사기 행위 탐지, 소셜네트워크 분석 등에 활용되는 그래프 데이터베이스(GDB) 제품 개발·출시. 인텔, UN, KB국민은행, 관세청 등에 서비스 제공 이력 보유.
+2.48%
AI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주요 사업은 자연어를 처리하는 AI for Text(강화 검색·분석·챗봇)와 인공지능 기술로 영상을 분석하는 AI for Video(영상·음성 처리) 등.
+2.45%
인공지능(AI), 빅데이터(Bigdata) 원천 기술 기반의 플랫폼/서비스를 제공하는 AI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심층 질의응답 기반 대화형 인공지능, 기계학습 기반 초대규모 증강분석 빅데이터 기술 보유.
+2.44%
최대주주인 SK텔레콤과 협력해 휴대용 인공지능(AI) 기기 ‘누구’ 출시.
+2.30%
한국전자인증의 출자법인인 인공지능(AI) 전문기업 에이아이브레인(AIBrain)이 스마트폰용 AI 로봇 ‘타이키’ 개발.
+2.25%
자회사 데이타솔루션(지분율 65.54%)을 통해 빅데이터/AI 플랫폼 구축 사업 영위(2022.09.30 기준).
+2.20%
인공지능(AI) 솔루션 및 인공지능 기반 제품 개발, 생산, 판매업체. 얼굴인식 AI, 이상상황 감지 AI, AI 학습 데이터 제작 등 3개의 사업 영역 영위.
+2.05%
데이터·AI 전문기업으로,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관리 서비스 제공.
+1.83%
자체 개발 AI 모델 ‘하이퍼클로바X’를 2023년 8월 공개. 이를 기반으로 AI 서비스를 제공 중.
+1.82%
인공지능·빅데이터 기술 플랫폼인 ‘SOFIA(소피아)’를 기반으로 맞춤형 서비스 및 구독형 서비스 제공.
+1.82%
자연어처리 기술 기반의 인공지능SW를 개발 및 공급. 인공지능 제품군의 주력 제품은 ‘와이즈 아이챗(WISE iChat)’.
+1.65%
한컴독스에 생성형 AI를 결합한 ‘한컴독스 AI’를 2024년 정식 출시.
+1.39%
솔본의 자회사 솔본인베스트먼트(지분율 100%)가 빅데이터 검색솔루션과 인공지능 기반 지능정보솔루션을 개발한 ‘와이즈넛’ 지분 보유(2022.09.30 기준).
+1.20%
기업 전용 챗봇 구독 서비스 ‘아보카’ 개발·운영. 카카오, 현대해상, 웰컴저축은행 등의 챗봇 플랫폼을 구축한 이력도 보유.
+1.16%
데이터베이스 관리 업체. AI기반 IT 운영 지능화 솔루션인 ‘XAIOps(싸이옵스)’ 출시.
+1.07%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전처리 기술 플랫폼 ‘AIROOT’, 데이터 공급 플랫폼 ‘RDPLINE’, 뉴스 미디어 플랫폼 서비스 ‘AISURFER’, 오픈형 컨텐츠 플랫폼 ‘ROZEUS’ 등의 서비스 운영.
+1.02%
종합 인공지능 서비스 업체로, 자체 보유한 AI(인공지능) 기술을 조합하여 AI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와 AI 고객 상담원 등의 인공인간 서비스 운영. 주요 거래처는 삼성전자, 신한은행 등.
+0.79%
AI 기반의 ICT(정보통신기술) 시스템 이상탐지, 예측용 장비 개발·생산. 또한 건강데이터 분석 기업 메디에이지도 보유.
LG
+0.62%
LG AI연구원을 통해 초거대AI를 연구·개발 중.
+0.57%
인공지능 영상 인식 시스템·솔루션 전문기업. 인천국제공항 자동 출입국 심사대와 정부 4대 청사 등 국가 보안시설에 AI 시스템 공급.
+0.55%
인공지능(AI) 영상 솔루션 업체. 스스로 학습하는 엣지AI 카메라를 기반으로 지능형 영상감시, 스마트 IoT 솔루션, 영상 스트리밍 솔루션 등 제공. 국내 공공기간이 주 매출처.
+0.36%
AI 서비스 ‘A.(에이닷)’에 거대언어모델(GPT3)을 접목. 한국어 특화 버전을 자체 개발하고, 이를 에이닷 서비스에 적용. 더해 1500억개 파라미터 보유한 초거대AI 개발했으며, 카카오·국립국어원과 인프라, 데이터, 언어모델 개발에 협력.
0.00%
로봇프로세스자동화(RPA) 솔루션 세계 1위 기업 유아이패스(UiPath)와 기술 협약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음. RPA는 AI(인공지능)와 머신러닝(기계학습), 로봇 소프트웨어를 통해 일상 업무를 자동화하는 기술.
KT
-0.40%
2024년 마이크로소프트와 5년간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 2025년 GPT-4o 기반 한국형 AI 모델을 개발하고, 소형언어모델 ‘Phi(파이) 3.5’ 기반 공공·금융 등 산업별 특화 모델을 내놓을 예정.
-0.81%
AI, 빅데이터 분석, 데이터품질 등의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공급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AI 프로세스를 체계화해 코딩 없이 AI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AI개발 플랫폼(WiseProphet)이 있음.
인공지능(AI) 테마 차트
  • 3개월 등락률
    +0.31%
  • 1개월 등락률
    -5.23%
  • 1주 등락률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