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ction(){$(‘.btn’).on(‘click’, function(){$(‘.target’).toggleClass(‘display-none’);$(‘.btn’).addClass(‘display-none’);});});$(function(){$(“.tab_content”).hide();$(“.tab_content:nth-child(2)”).show();$(“ul.tabs li”).click(function(){$(“ul.tabs li”).removeClass(“active”);$(this).addClass(“active”);$(“.tab_content”).hide();$(“#” + $(this).attr(“rel”)).fadeIn();});});

[강세 토픽] OLED - 소재·부품 테마, 풍원정밀 +19.64%, 에스앤에스텍 +8.17%

증권플러스 | 2025.03.12 오후 12:12

[뉴스봇] OLED - 소재·부품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58% 상승세이다. 풍원정밀 +19.64%, 에스앤에스텍 +8.17%, 라온텍 +7.89%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소재업체, 패널사의 가동률 및 생산량 변화에 영향 ✔ AI 보급 확산으로 OLED 중요성 증대 기대 ✔ '27년까지 IT용 OLED 출하량 연평균 41% 성장 전망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유기 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자체발광현상을 이용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 백라이트(BLU)가 필요 없는 구조의 특성으로 기존 LCD 등에 비해 구현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 특징.
OLED 소재·부품은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사들의 가동률 및 생산량 변화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패널 제조사들의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소재·부품의 수요도 늘어남.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에서 재료구조를 선행개발 후, 소재·부품사들이 고객사의 요구에 맞춰 지속적으로 발전·변경. 개발 후에도 재료별 업체선정에 따른 경쟁구도가 지속되는 환경으로, 핵심 기술력 및 안정된 양산능력(Capa), 특허 구축 등이 경쟁력으로 평가됨.
TV 업계는 OLED 중심으로 재편 중. 중국 업체들의 저가 물량 공세로 LCD 수익성이 악화한데다 경기 침체에 TV 수요마저 급감하자 업계는 잇따라 LCD 사업을 철수하는 추세. 2024년 OLED TV 출하량은 2023년(560만대)보다 16% 증가한 650만대 이를 것으로 전망. 출하량은 2024년부터 2027년까지 연평균 13% 성장해 2027년에는 920만대까지 출하될 것으로 추정(출처: DSCC).
특히 2025년은 AI 기능 본격화로 OLED 중요성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 디스플레이는 기기 전력 소모의 30~70%를 차지하는 부품으로, AI의 저전력 트렌드에서 개선이 필수적으로 동반되어야 하기 때문. 이러한 AI확산과 애플이 주도하는 OLED 전환 사이클에서 '28년 까지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들이 주도할 것으로 전망(출처: SK증권).
또한 폴더블폰 시장 개화 시 OLED 침투가 본격화되어 침투율 상승 속도는 TV 대비 빠를 것으로 전망(출처: 하나금융투자). 태블릿, 모니터, 노트북 등 IT용 OLED 출하량은 연평균 41% 성장해 2027년 3100만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출처:유비리서치).
정부는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 발전을 위해 연구개발 비용을 확대. 2024년 산업통상자원부는 디스플레이 연구개발(R&D)에 전년대비 17% 증가한 903억원을 지원. 특히 초고휘도 패널 기술 개발, 초고해상도 마이크로 OLED 기술 개발, 태블릿 등 IT 기기용 OLED에 특화된 고수명 발광 구조·소재 개발 등에 약 239억 원을 투자.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19.64%
OLED 증착 공정의 핵심 소재인 메탈마스크 등을 생산. 주요 제품은 오픈메탈마스크(OMM), 파인메탈마스크(FMM) 등. 주요 고객사로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확보.
+8.17%
국내 유일의 반도체·디스플레이 필수소재 블랭크 마스크 제조사. 주 고객사는 삼성디스플레이와 중국 기업. 고마진의 OLED용 블랭크 마스크 생산.
+7.89%
스마트안경 등에 사용되는 마이크로디스플레이 개발·생산. 주요 제품은 LCoS 마이크로디스플레이 등이 있으며, 마이크로 OLED 등의 기술도 개발 중. 또한 OLED 등을 설계하고 파운드리를 통해 위탁 생산하는 디스플레이 팹리스 사업도 영위.
+6.23%
전자제품의 핵심부품인 PCB(인쇄회로기판) 전문 생산업체로, OLED 디스플레이 제품에 적용 가능한 고밀도, 고품질의 PCB를 생산. 종속회사 인터플렉스가 OLED용 FPCB(연성인쇄회로기판) 생산.
+3.50%
CRO 및 CDMO 업체로, 다양한 화합물 중에서도 OLED 소재(발광층 소재 및 공통층 소재)를 중점적으로 제조 및 판매. 중국, 캐나다의 기초화학물질 생산업체로부터 원료를 구입한 뒤, OLED 제조에 필요한 소재를 연구개발 및 생산하여 원천소재 개발업체에 판매.
+2.88%
우주·항공, 자동차, 의료 기기, 전자기기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특수목적으로 사용되는 첨단금속 제조 업체. 주요 제품은 우주항공 구리합금 소재, Ni계/Ti계 특수금속, 고순도금속, 박막 증착 기술에 사용되는 합금인 스퍼터링타겟 등. 또한 LG디스플레이 1차 공급사로 OLED용 인바 프레임을 공급 중. 최근에는 진공 아크 재용해 (VAR), 플라즈마 아크 용해(PACHM), 전자빔 용해(EBCHM) 등의 최첨단 진공용해 설비를 자체 제작해 운영.
+2.84%
프로세스케미칼(신너, 현상액, 식각액, 박리액 등), 화인케미칼(포토레지스트용 원료 등), 칼라페이스트 등의 반도체·디스플레이 전자재료 사업을 영위. OLED용 포토레지스트, WOLED용 R,G,B 컬러페이스트를 생산.
+2.76%
종속회사인 솔브레인에스엘디의 디스플레이 사업부는 임가공업을 영위. 대표적 매출원으로 RIGID OLED용 유리 기판을 식각해 얇게 만드는 공정을 거친 패널을 수주해 Scribing하는 임가공 용역. 주요 고객사로는 삼성디스플레이.
+2.75%
유기전자 재료 사업을 영위. OLED 소재, OLED 소재 합성에 필요한 촉매, 원료 등을 제조 및 판매.
+2.36%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시 Glass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배선소재인 Target과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를 위한 공정장비의 부품을 생산. 주요 매출처 삼성디스플레이.
+2.08%
플렉서블 OLED 디스플레이 패널에 유리를 대체하는 기본 물질 소재로 적용되는 PI(Polyimide) 필름을 생산.
+1.77%
LG그룹 방계기업으로 디스플레이 회로칩 생산. OLED TV에 들어가는 DDI(구동회로칩) 생산.
+1.73%
디스플레이 패널 코팅 및 식각 업체. 애플이 향후 OLED 패널을 채택함에 따라 대규모 시설 투자를 통해 플렉서블 OLED 연구개발과 필름 코팅 시설 매입.
+1.46%
OLED 소재 중 발광층(EML, R, G, B의 Host & Dopant)재료, 발광보조층(Prime, R’, G’, B’) 재료와 HTL, ETL, CPL 같은 공통층 재료를 합성 및 정제해 고객사에 판매. 또한 이차전지 전해액의 첨가제를 연구 및 생산.
+1.09%
차량용 디스플레이(BLU, IVI, HUD), 자동차 부품, 배터리 관련 부품, OLED 부품, TV 내장 및 외장 부품, 전자 부품 충격 보호 스티로폼 패킹 제품 등을 생산.
+1.09%
LCD, OLED 등 디스플레이 구동에 필요한 핵심부품인 T-Con, TED 제품 제조·판매. 주요 매출처는 삼성디스플레이.
+1.01%
FPCB(연성인쇄회로기판)용 핵심 소재 업체로, OLED TV용 봉지재료 필름도 생산.
+0.98%
IT기기용 필름 제조사로, 플렉시블 OLED용 Barrier Film(차단성 필름) 생산.
+0.87%
OLED 블루 기능성 핵심 소재인 정공방어층(aETL) 등 개발·생산.
+0.66%
반도체용 특수가스 및 일반산업용 가스의 충전·제조·정제·판매. AMOLED 등을 제조하는 공정용 소재로 사용되는 특수가스도 생산. 삼성디스플레이에 N2O, NH3를 비롯한 10여종의 공정용 특수가스를 AMOLED 개발 초기부터 공급한 것으로 알려짐.
+0.44%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용 소재 업체로, OLED 공정용 마스크 세정액 생산.
+0.37%
디스플레이(OLED), 반도체 공정 핵심소재, 합성 고분자 소재 등을 개발/생산하는 첨단산업 핵심 소재 전문 기업. OLED소재(ETL, HTL, R/H, G/H), 반도체소재(HCDS), 촉매/합성고무 첨가제 등 주력 제품들이 주요 고객사 내에서 M/S 1위를 기록하는 확고한 시장 지위를 확보.
+0.33%
OLED 디스플레이 메탈 마스크 전문업체. OMM(Open Metal Mask)와 FMM(Fine Metal Mask) 제조.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들을 주요 고객사로 확보.
+0.16%
AMOLED 유기물 재료 및 반도체 공정용 화학제품을 제조, 판매하는 화학소재사. OLED의 핵심 구성요소인 유기재료를 생산하며, 주요 매출처는 삼성디스플레이.
0.00%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핵심 부품인 윈도우 커버용 투명폴리이미디 필름(CPI)을 생산·판매.
0.00%
TFT-LCD에 적용되는 광학필름(반사, 확산, 보호, 프리즘, 복합필름 등), 모바일 OLED용 테이프(블랙차광, 방수, 쿠션, 공정용보호) 등 생산.
-0.35%
LG그룹 계열사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핵심부품인 드라이버IC 생산·판매.
-0.59%
이녹스로부터 인적분할. FPCB용 소재, 반도체 PKG용 소재, 디스플레이용 OLED 소재 등을 개발·제조. OLED 소재 주요 브랜드로 INNOLED가 있음.
OLED - 소재·부품 테마 차트
  • 3개월 등락률
    +15.89%
  • 1개월 등락률
    -4.22%
  • 1주 등락률
    -0.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