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ction(){$(‘.btn’).on(‘click’, function(){$(‘.target’).toggleClass(‘display-none’);$(‘.btn’).addClass(‘display-none’);});});$(function(){$(“.tab_content”).hide();$(“.tab_content:nth-child(2)”).show();$(“ul.tabs li”).click(function(){$(“ul.tabs li”).removeClass(“active”);$(this).addClass(“active”);$(“.tab_content”).hide();$(“#” + $(this).attr(“rel”)).fadeIn();});});

[강세 토픽] 농업 - 농기계 테마, 포메탈 +5.05%, 대동기어 +3.44%

증권플러스 | 2025.03.12 오전 09:24

[뉴스봇] 농업 - 농기계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1.99% 상승세이다. 포메탈 +5.05%, 대동기어 +3.44%, 대동 +3.13%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농기계 내수 시장은 저성장 국면..수출 확대 노력 ✔ 업체들 자율주행 농기계 제품 개발과 양산에 주력 ✔ 우크라 재건주로도 부각..우크라, 농업 재건 프로젝트 추진 계획
농기계산업은 농업에 쓰이는 기계로 트랙터, 콤바인, 베일러, 스프레이어 등이 주요 품목. 기술과 자본이 집약된 산업.
인구와 식량 수요가 증가하고 경작지와 농업 인력이 부족해지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농업의 기계화 요구 발생. 실제로 UN에 따르면 글로벌 인구수는 2050년까지 95억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 전세계 농업생산량은 69% 증가해야 하는 상황.
농업은 다양한 작물의 생산·수확 후 가공 등 그 범위가 넓어 농업기계도 그 종류가 다양하나, 사용기간은 짧고 계절적 특성이 강해 다기종 소량생산이 특징.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그랜드뷰서치는 국제 농기계 시장이 2021년 1556억8000만 달러(약 209조원) 규모에서 연평균 5.0% 성장해 오는 2026년엔 1986억9000억 달러(약 266조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전망
지난해에는 북미 수출이 둔화되면서 농기계 수출액이 전년 대비 21.4% 감소한 12억240만 달러를 기록(출처:농식품부). 수요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는 장비 교체 주기 (지난 3년 간 높았던 농기계 주문), 곡물 가격 하락에 따른 농장의 구매력 감소 등(출처: KB증권).
농업 패러다임이 첨단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농업으로 변화함에 따라 농기계도 전통적인 트랙터, 콤바인 중심에서 농업용 자율주행 이동체 및 드론 등으로 확장, 진화되는 추세. 농업용 자율주행 이동체(트랙터, 로봇 등) 글로벌 시장 규모는 '22년 약 15억4000만달러에서 '25년 25억8500만 달러까지 성장 전망(출처: 농촌경제연구원).
국내외 업체들은 자율주행 농기계 제품 개발과 양산에 주력. 미국 존디어는 2025년 미국서 열린 CES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한 트랙터와 덤프트럭을 공개. 국내업체인 대동은 AI가 내장된 카메라가 씨앗을 인식해 식물별 온도·습도·조도·배양액 등의 재배 환경을 제어하는 'AI 식물 재배기' 공개.
정부는 제9차 농업기계화 기본계획을 통해 현재 레벨2 수준인 자율주행 농기계 기술을 Level4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발표(2022.05.06). 글로벌 상위 업체인 존디어, 구보타, CNH, AGCO는 4단계 상용화 및 진입.
대동은 농기계와 로봇이 자율 무인 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온디바이스 AI 플랫폼을 개발해 2025년부터 AI 시스템 기반의 지능화, 무인화 기능을 탑재한 농용과 옥외 작업용 산업 로봇을 단계적으로 출시할 계획. 또한 레벨4 AI 수준의 자율작업 트랙터를 개발 중. TYM도 자회사 TYMICT에서 스마트폰으로 트랙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 중이며, 완전 자율주행을 포함해 여러 대의 농기계를 한 번에 제어할 수 있는 기술도 개발하고 있음.
한편, 농기계 관련주는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수혜주로도 부각. 무역협회에 따르면 우크라이나는 약 500억 달러 규모를 활용한 경제부가가치 성장을 계획하고 있는데 이중 농기계 개발(약 2억 달러) 등이 포함. TYM은 2024년 11월 방한한 우크라 국회의원단과 재건 사업 협력을 논의. 대동은 우크라이나 총판상과 300억원대 규모의 트랙터 공급계약을 맺고, 2025년 1월부터 3년 간 매년 100억원 규모의 트랙터를 정기적으로 납품(2024.01.15).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5.05%
종합단조정밀기계부품 제조사. 농기계에 들어가는 크랑크샤프트, 캠샤프트, 커넥팅로드 등 생산.
+3.44%
대동공업 계열사로 농기계 및 자동차용 금속부품 제조. 자동차와 농기계의 동력전달장치용 부품, 트랜스미션 생산.
+3.13%
농기계 생산 전문기업. 농업용 트랙터를 주력으로 콤바인과 이양기 등을 제조. 자회사 대동금속(52.8%)과 대동기어(31.6%) 등을 통해 부품 제조부터 판매까지 수직 계열화. 자율주행 시스템과 로봇사업 진출을 위해 연구개발 진행.
+2.19%
대동공업 계열사로 농기계 및 자동차용 금속부품 제조.
TYM
+1.39%
농기계 제조사. 농기계사업(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등) 및 담배필터 사업을 영위. 국제종합기계와 작업기 생산 업체인 GMT를 인수한 이후 자율주행 농기계를 개발하는 TYMICT를 설립. 이를통해 ‘티와이엠-TYMICT-국제종합기계-GMT’의 수직계열화 구조로 자율주행 기술을 기반으로한 본체와 엔진, 작업기를 모두 생산.
0.00%
농기계 제조 업체로, SS기, 트랙터, 결속기 등 생산. 다목적관리기 등의 소형농기계 사업도 운영.
-1.28%
자동차부품사. 상용차, 농기계, 중장비 등의 라디에이터와 오일쿨러 제조해 농기계 제조사에 공급.
농업 - 농기계 테마 차트
  • 3개월 등락률
    +39.26%
  • 1개월 등락률
    +7.58%
  • 1주 등락률
    +0.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