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우크라 재건 테마, 현대에버다임 +5.84%, 디와이디 +5.54%

증권플러스|2025.03.05 오전 10:06

[뉴스봇] 우크라 재건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21% 상승세이다. 현대에버다임 +5.84%, 디와이디 +5.54%, HD현대건설기계 +5.45%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러-우크라 전쟁 장기화 속 재건 관련주 부각 ✔ 한국-우크라 23억달러 공여협정 정식 체결 ✔ 건설·기계·인프라·원전·신재생E 등이 관련주로 언급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우크라이나가 한국을 포함한 다양한 국가에 재건 사업 참여를 요청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관련주 주목.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으로는 지뢰제거, 건설, 건설기계, 철도, 농업, 방산, IT, 전력, 배터리, 기자재 등 다양한 분야가 있음.
우크라 재건 사업은 '제2의 마셜플랜'이라 불리는 대형 인프라 구축 사업으로,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우크라 재건사업 규모는 향후 10년간 9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 단순히 전쟁으로 망가진 인프라를 복구하는 것을 넘어서서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는 것이 목표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
이를 위해 각국 정부를 비롯해 국제통화기금(IMF), 유럽투자은행(EIB),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등이 차관 및 투자 형태로 프로젝트를 제시.
대통령과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통해 안보·인도·재건 지원을 포괄하는 '우크라이나 평화 연대 이니셔티브'를 함께 추진하기로 결정. 이를 통해 재건 지원에는 대외경제협력기금(EDCF)과 공적개발원조(ODA)를 활용한 인프라 건설 등 협력 사업 추진, 온·오프라인 교육시스템 구축 협력 확대 등이 포함됨(2023.07.15). 정부는 내년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을 통해 우크라이나 평화회복과 재건 지원에 3억 달러를 지원하겠다는 계획을 발표(2023.09.10). 또한 20억 달러 이상의 중장기 지원 패키지를 마련해 우크라이나 재건을 적극 돕겠다는 계획도 밝힘.
이와 함께 '한국·우크라이나 재건협력포럼'에서 양국 정부가 중점 추진할 6대 선도 프로젝트를 발표. 6대 선도 프로젝트는 키이우 교통 마스터플랜, 우만시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보리스필 공항 현대화, 부차시 하수처리시설, 카호우카 댐 재건 지원, 철도노선 고속화(키이우∼폴란드 등) 등으로 구성.
2023년 5월 방한한 로스티슬라프 슈르마 우크라이나 대통령실 차장은 "신규 원전 2기 설립과 수소 인프라 구축 등 다양한 에너지 사업 프로젝트에서 한국 기업의 참여를 기대한다"며 "한국과는 3580억달러 규모의 전력·수소에너지 프로젝트와 1300억달러 규모의 에너지 설비 생산 관련 프로젝트 등의 기회가 있다"고 밝힘(2023.05.17).
재건 사업의 첫걸음으로 부서진 건물을 치워야 하기 때문에 중장비 판매가 급증할 것이라는 예측. 우크라이나 정부가 전력 공급을 위해 원전 2기 건설을 공식화하면서 원전과 건설 업체들의 참여 기대. 또 우크라이나는 국가 재건 과정에서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인프라 구축도 추진할 계획으로 국내 관련 업계 참여도 기대. 우크라이나는 재건 분야 지원 가운데 2차 전지, 전기자동차 생산, 금속, 제련, 통신·디지털 분야까지 우리나라 기업들의 직접적인 투자를 요청.
올 들어 한국수자원공사는 우크라이나 키이우의 위성도시인 부차시를 경제 재건 허브도시로 조성을 위한 협력 방안을 협의(2024.06.13). 한국무역협회도 인근 국가인 폴란드 바르샤바에 지부를 설립하기로 결정하고 9∼10월쯤 이뤄질 정식 개소를 준비 중.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도 지난해 9월부터 폴란드 출장 사무소를 열고 공기업 및 민간기업의 우크라이나 사업 참여를 돕고 있는 중.
한편,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대선 후보인 트럼프는 당선 시 우크라이나 전쟁을 24시간 안에 끝낼 수 있다고 유세 중 여러번 언급. 이로인해 우크라 재건 관련주는 트럼프 당선 수혜 업종으로 부각받기도.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5.84%
굴삭기에 부착해 운반이나 파쇄 등을 하는 어태치먼트, 타워크레인, 발전기 등 제조.
+5.54%
우크라이나 아르핀시와 전쟁복구 재건 사업 관련한 업무협력 MOU(양해각서) 협의 이력 보유한 삼부토건(지분율: 8.12%) 의 최대주주.
+5.45%
굴삭기, 휠로더 등 건설기계와 부품 등을 제작 및 판매. 바실리 슈크라코브 우크라이나 인프라부 1차관이 울산 캠퍼스에 방문해 재건 사업 관련 협력 방은 등을 논의(2023.06.13).
우크라 재건 테마 차트
  • 3개월 등락률
    +3.83%
  • 1개월 등락률
    +3.76%
  • 1주 등락률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