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벤처캐피탈(VC) 테마, 캡스톤파트너스 +18.86%, 컴퍼니케이 +12.21%

증권플러스|2025.02.25 오전 11:51

[뉴스봇] 벤처캐피탈(VC)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3.28% 상승세이다. 캡스톤파트너스 +18.86%, 컴퍼니케이 +12.21%, LB인베스트먼트 +9.59%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벤처캐피탈(VC)은 잠재력이 있는 벤처기업에 투자 ✔ 지분 보유 기업이 상장 기대감을 높일 때 주가가 상승하는 경향 ✔ 작년 신규 벤처투자 금액 3년 만에 반등..올해도 회복 가속화 기대
벤처캐피탈(Venture Capital, VC)은 기술력과 장래성은 있으나 경영기반이 약해 일반 금융기관으로부터 융자받기 어려운 벤처기업에 무담보 주식투자 형태로 투자하는 기업. VC는 초기~7년 이내의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일반적.
VC의 수익은 조합관리 보수, 성과보수, 출자 펀드를 통한 투자 이익으로 구성. 이는 'AMU(Q)*관리보수율(P)-고정비+α(성과보수, 투자이익)’으로 단순화할 수 있음.
이러한 VC의 수익구조는 자본시장 상황에 따라 투자 기업의 밸류에이션과 회수 여부가 연동되며, 이익변동성이 높음. 수익성의 제반 요소들이 결국은 자본시장의 호불황에 종속되기 때문에 주가 변동성 역시 높음. 단기적으로 주가 변동성은 지분 투자한 기업이 상장 기대감을 높일 때 부각받는 경향.
2024년 벤처 신규투자 금액은 11조9400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10% 증가. 2021년부터 2년간 이어진 감소세를 딛고 3년 만에 반등 성공. 지난해 한국 펀드 결성액은 10조5500억원으로 전년대비 18.8% 감소. 그러나 글로벌 펀드 결성규모가 2024년 전년대비 52.6% 감소한 1090억 달러를 기록한 것에 비해, 한국의 펀드 결성은 견조한 흐름을 이어간 것으로 평가(출처: 중소벤처기업부)
2024년 투자금의 46.1%가 후기 단계 기업에 집중. 이는 VC가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이미 검증된 성장 기업 위주로 투자하고 있음을 의미. 엑시트(투자금 회수) 전략에서는 인수·합병(M&A)이 전체 회수의 54.4%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기록. 기업공개(IPO)를 통한 회수 비중은 30.6%로 전년 대비(32.3%) 소폭 감소(출처: 한국벤처캐피탈협회).
2025년 중기부는 국내 벤처투자 시장이 회복세를 더욱 가속할 수 있도록 올해 모태펀드 출자 예산 전액(1조원)을 1월에 공고해 조기 공급. 또한 창업 초기·지방 등 정책 분야 펀드 출자 규모를 대폭 확대한다는 계획.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18.86%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투자금융을 제공하는 벤처캐피탈 업체. 당근, 직방, 컬리 등 다수의 유니콘을 초기에 투자.
+12.21%
스타트업 전문 벤처캐피탈 기업. 운영중인 조합은 총 12개로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 10개, 농식품투자조합 1개로 구성.
+9.59%
중소벤처기업에 투자금융을 제공하는 벤처캐피탈로, 벤처투자조합 11개, 사모투자합자회사 1개를 운용.
벤처캐피탈(VC) 테마 차트
  • 3개월 등락률
    +15.96%
  • 1개월 등락률
    +12.95%
  • 1주 등락률
    +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