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초자산을 추종하는 주식, 채권에 콜옵션 프리미엄을 더하는 구조 상품.
✔ 급등·급락 장세보다 횡보나 박스권에서 단기적 변동성을 보일 때 유리
✔ ETF 종목명에 명시된 분배율은 확정 분배율 아닌 목표 분배율..선택시 주의해야 커버드콜이란 주식, 채권 등 특정 자산을 매수하면서 동시에 해당 자산의 콜옵션(이전에 미리 정한 행사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을 매도하는 전략을 의미. 투자자는 콜옵션 구매자로부터 프리미엄(판매가격)을 받는데, 커버드콜 ETF는 기초자산을 추종하는 주식, 채권에 콜옵션 프리미엄을 더하는 구조 상품. 보유 자산의 콜옵션을 매도해 얻은 옵션 프리미엄을 매월 배당으로 분배하는 것이 특징. 주식시장이 일정 범위 내 하락하거나 완만하게 상승하는 경우 현물 수익과 함께 콜옵션 매도에 따른 프리미엄 만큼의 추가 수익을 확보하게 되어 시장수익률 상회를 기대할 수 있음. 그러나 주식시장이 급등하는 경우 콜옵션 매도에 따른 손실로 수익이 한정될 수 있으며, 하락장에서 기초자산인 주식·채권 가격이 일정 이상 떨어질 경우 현물 손실 가능성이 있음. 이 때문에 높은 비율의 연 분배금을 받더라도 투자수익률이 하락할 가능성 존재. 즉, 커버드콜 ETF는 급등·급락 장세보다 횡보나 박스권에서 단기적 변동성을 보일 때 유리. 커버드콜 ETF는 콜옵션의 행사 가격에 따라 ATM(등가격)와 OTM(내가격)으로 나뉨. ATM은 현재 주가지수와 동일한 행사가격의 콜옵션을 매도하는 것이며, OTM은 현재 주가지수보다 높은 행사가격의 콜옵션을 매도하는 것. OTM은 옵션을 비싸게 정한 대신 프리미엄이 낮고 ATM은 상대적으로 프리미엄이 높은 편. 증시가 횡보하거나 소폭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는 ATM, 완만하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면 OTM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 커버드콜 ETF는 종목명에 분배율(%)을 명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확정 분배율이 아닌 목표 분배율이기 때문에 상품 선택 시 주의가 필요.
KEDI 미국AI테크TOP10+15%프리미엄 지수(Total Return) 상승(▲) 시 수익률 (+). 미국 나스닥에 상장되어 있는 보통주와 NYSE에 상장된 ADR 중 테크 종목 10개를 매수하고(테크주식 포트폴리오), 나스닥10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콜옵션(NDX 콜옵션)을 매도해 연간 15% 프리미엄 창출을 목표로 하는 ‘KEDI 미국AI테크TOP10+15%프리미엄 지수(Total Return, KRW)’를 기초지수로 추종.
NASDAQ100 Daily Covered Call Target Premium 15% 지수(Total Return) 상승(▲) 시 수익률 (+). 미국 나스닥 시장에 상장된 종목 중 지수요건을 충족하는 상위 100개 종목에 투자하는 동시에, 연간 프리미엄 15%를 목표로 익일 만기되는 나스닥100 ATM 옵션을 매 영업일 매도하는 지수인 ‘NASDAQ100 Daily Covered Call Target Premium 15% 지수(Total Return)’을 기초지수로 추종.
S&P 500 10% Daily Premium Covered Call 지수(Total Return) 상승(▲) 시 수익률 (+). S&P Total Market 지수 종목 중 조건을 만족하는 시가총액 상위 500개 기업을 구성종목으로 하며 연간 프리미엄 10%을 목표로, 익일 만기하는 S&P500 ATM 옵션을 매 영업일 매도하는 지수인 ‘S&P500 10% Daily Premium Covered Call Index(TR)’을 기초지수로 추종.
Dow Jones U.S. Dividend 100 10% Premium Covered Call Index(Total Return) 상승(▲) 시 수익률 (+). 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 포트폴리오를 매수하고 S&P500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콜옵션을 매도하여 연간 10% 프리미엄 창출을 목표로 하는 지수인 ‘Dow Jones U.S. Dividend 100 10% Premium Covered Call Index(Total Return, KRW)’를 기초지수로 추종.
Bloomberg US 500 Large Cap Premium (SPY) Decrement 15% Distribution Index 상승(▲) 시 수익률 (+). 미국에 상장된 시가총액 상위 500개 종목에 투자하고 SPY ETF 콜옵션을 매도하는 커버드콜 전략 지수인 ‘Bloomberg US 500 Large Cap Premium (SPY) Decrement 15% Distribution Index’를 기초지수로 추종.
‘Bloomberg U.S. Tech Top10+10% Premium Covered Call 지수(원화환산)’ 상승(▲) 시 수익률 (+). 빅테크 기업 중 시가총액 기준 나스닥 상위 10 종목을 구성종목으로 하며 연간 프리미엄 10%(월 83bp)에 해당하는 계약수의 e-mini 나스닥 100 ATM 콜옵션을 매도한 지수인 ‘Bloomberg U.S. Tech Top10+10% Premium Covered Call 지수(원화환산)’를 기초 지수로 추종.
Bloomberg US Big Tech Top 7 Plus Premium (QQQ) Decrement 15% Distribution Index 상승(▲) 시 수익률 (+). 미국 빅테크 7종목을 집중매수하고 QQQ ETF 콜옵션을 매도하는 커버드콜 전략으로 상승폭을 포기하는 대신 옵션 프리미엄을 선택하는 투자방식인 ‘Bloomberg US Big Tech Top 7 Plus Premium (QQQ) Decrement 15% Distribution Index’를 기초지수로 추종.
Bloomberg US Listed Semiconductor Premium (QQQ) Decrement 15% Distribution Index 상승(▲) 시 수익률 (+). 미국에 상장된 반도체 시가총액 상위 30개 종목에 투자하고 QQQ ETF 콜옵션을 매도하는 커버드콜 전략으로 상승폭을 포기하는 대신 옵션 프리미엄을 선택하는 투자방식인 ‘Bloomberg US Listed Semiconductor Premium (QQQ) Decrement 15% Distribution Index’를 기초지수로 추종.
KEDI 테슬라인컴프리미엄밸런스드지수를 비교지수로 해 비교지수 대비 초과성과를 목표로 운용하는 것이 목적인 ETF. ‘KEDI 테슬라인컴프리미엄밸런스드지수’는 테슬라 주식과 사전에 정해진 하위 지수인 KAP 한국종합채권 2-3Y 지수(AA-이상, 총수익)를 매수하고 테슬라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콜옵션을 매도하며 테슬라 커버드콜과 국내채권의 비중을 3:7로 조정하는 Constant Mix 전략을 수행.
Bloomberg U.S. Treasury 20+ Year (TLT) 2% OTM Covered Call Index 상승(▲) 시 수익률 (+). 잔존만기 20년 이상의 미 국채 40개 종목과 해당 ETF의 콜옵션으로 구성된 커버드콜 지수인 ‘Bloomberg U.S. Treasury 20+ Year(TLT) 2% OTM Covered Call Index’의 원화환산지수를 기초지수로 추종.
KEDI 미국국채20년+ 커버드콜지수(NTR) 상승(▲) 시 수익률 (+). KEDI(한국경제신문)가 산출하는 ‘KEDI 미국 국채 20년+ 커버드콜 지수(NTR)’를 기초지수로 추종. 해당 지수는 20년 이상 만기 미국 국채를 추종하는 ETF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콜옵션을 매도하고, 해당 기초자산의 수익률과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ETF 포트폴리오를 매수하는 합성 포지션 전략의 성과를 추종.
KEDI US Treasury 30Y Weekly Covered Call 30 지수를 비교지수로 해 비교지수 대비 초과성과를 목표로 운용하는 것이 목적인 ETF. ‘ KEDI US Treasury 30Y Weekly Covered Call 30’ 지수는 만기 20년 이상의 미국채 수익률을 추종하는 ETF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콜옵션 매도(30%) 및 콜옵션 기초자산의 수익률과의 추적오차가 최소화되는 ETF 포트폴리오를 매수.
Bloomberg U.S.Treasury 20+ Year(TLT)+ 12% Premium Covered Call index 상승(▲) 시 수익률 (+). 만기 20년 이상 미국 국고채를 매수하고, 미국 상장 TLT ETF(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콜 옵션 매도를 통해 연 12%의 분배 재원을 확보하는 전략의 지수인 ‘Bloomberg U.S.Treasury 20+ Year(TLT)+ 12% Premium Covered Call index(Total Return)’을 기초지수로 추종.